SK머티리얼즈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고객사들의 신규 투자 축소로 2019년 하반기부터 실적 개선세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도현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21일 “최근 반도체업황 부진으로 삼성선자, SK하이닉스 등 SK머티리얼즈의 고객사들이 투자를 크게 줄이고 있다”며 “반도체 생산량 증가세의 둔화가 2019년 하반기부터 본격화되면 SK머티리얼즈의 실적 개선세도 둔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SK머티리얼즈는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생산에 필요한 특수가스를 생산하는 회사로 삼불화질소(NF3)가 주력제품이다.
SK머티리얼즈의 주요 고객사인 삼성전자는 2019년 D램에 신규 투자를 진행하지 않으며 낸드플래시에만 월 1만5천 장 규모의 투자를 진행한다.
예년 D램에 월 5만 장, 낸드플래시에 월 8만 장 규모의 투자를 집행했던 것과 비교하면 투자 규모가 작다.
다른 주요 고객사인 SK하이닉스도 지난해보다 줄어든 D램에 월 1만5천 장, 낸드플래시에 월 2만 장 규모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SK머티리얼즈는 2020년 중반부터 실적 개선세가 다시 회복될 것으로 보인다.
도 연구원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생산회사들은 2019년 하반기부터 투자를 늘리기 시작할 것”이라며 “이에 따른 반도체 출하량 증가는 2020년 중반 이후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SK머티리얼즈는 2019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7703억 원, 영업이익 2012억 원을 올릴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보다 매출은 12.1%, 영업이익은 10%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용규 기자]
도현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21일 “최근 반도체업황 부진으로 삼성선자, SK하이닉스 등 SK머티리얼즈의 고객사들이 투자를 크게 줄이고 있다”며 “반도체 생산량 증가세의 둔화가 2019년 하반기부터 본격화되면 SK머티리얼즈의 실적 개선세도 둔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 장용호 SK머티리얼즈 대표이사 사장.
SK머티리얼즈는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생산에 필요한 특수가스를 생산하는 회사로 삼불화질소(NF3)가 주력제품이다.
SK머티리얼즈의 주요 고객사인 삼성전자는 2019년 D램에 신규 투자를 진행하지 않으며 낸드플래시에만 월 1만5천 장 규모의 투자를 진행한다.
예년 D램에 월 5만 장, 낸드플래시에 월 8만 장 규모의 투자를 집행했던 것과 비교하면 투자 규모가 작다.
다른 주요 고객사인 SK하이닉스도 지난해보다 줄어든 D램에 월 1만5천 장, 낸드플래시에 월 2만 장 규모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SK머티리얼즈는 2020년 중반부터 실적 개선세가 다시 회복될 것으로 보인다.
도 연구원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생산회사들은 2019년 하반기부터 투자를 늘리기 시작할 것”이라며 “이에 따른 반도체 출하량 증가는 2020년 중반 이후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SK머티리얼즈는 2019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7703억 원, 영업이익 2012억 원을 올릴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보다 매출은 12.1%, 영업이익은 10%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용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