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웅 쏘카 대표이사, 서영우 풀러스 대표이사 등이 기존의 승차공유 서비스를 그대로 유지할 뜻을 내놓았다.  

쏘카와 풀러스 등 승차공유 서비스회사는 현재 24시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만큼 사회적 대타협기구의 '카풀(승차공유) 합의안'에 선을 긋고 있다. 
 
이재웅 서영우, 쏘카와 풀러스 서비스 놓고 '카풀 합의안'과 선그어

이재웅 쏘카 대표이사(왼쪽)와 서영우 풀러스 대표이사.


8일 쏘카 관계자는 카풀 합의안과 관련해 "쏘카의 서비스는 카풀 합의안이 규정하고 있는 '카풀'과는 다르다"고 말했다. 

이재웅 쏘카 대표이사는 이번 합의안은 쏘카의 서비스와 관련이 없다는 점을 강조하고 ‘타다’ 홍보에 힘을 쏟고 있다. 

이 대표는 8일 페이스북을 통해 타다 베이직 블랙에만 장착돼 있던 미세먼지 공기청정 필터를 타타 베이직 모든 차량에 장착한다고 밝혔다.

타다 베이직 블랙은 공기청정 필터와 섬유탈취제 등으로 차량 내부 서비스를 한층 높인 타다의 승차공유 서비스다. 

쏘카는 자회사 VCNC를 통해 2018년 10월 11인승 승합차와 운전기사를 함께 제공하는 승차공유 서비스 타다를 시작했다.

이 대표는 앞서 7일 “쏘카는 카풀업체도 아니고 타다도 법에 해석의 여지없이 명확하게 쓰여 있는 11인승~15인승 승합차 대여와 함께 기사 알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이번 사회적 대타협의 결과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고 말했다.

카풀 합의안을 놓고 아쉬움도 나타냈다. 

이 대표는 “택시산업 규제가 풀리는 것을 환영한다”면서도 “법이 금지하지 않는 24시간 유상카풀 같은 서비스는 기존 산업이 피해 받지 않는 범위 안에서 전체 택시의 몇 십 퍼센트를 넘지 않도록 하는 총량을 정한다든가 해서 연착륙하면 될 일”이었다고 말했다.

택시업계와 카카오모빌리티 같은 이해관계자들이 타협을 통해서 산업의 규제 관련 내용을 정할 것이 아니라 정부가 규제를 풀고 택시산업 종사자들을 보호하는 정책을 만들었어야 한다고 본 것이다.

이 대표는 현재의 타협으로는 앞으로 의미 있는 유상 카풀서비스가 나오기 어려울 것이라고 봤다.

풀러스도 카풀 합의안과 관계없이 ‘플러스제로’ 등 무상 카풀 서비스를 시장에 정착하는 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서영우 풀러스 대표이사는 카풀 합의안이 발표된 뒤 “풀러스는 무상 카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이번 합의안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밝혔다.

서 대표는 7일 페이스북을 통해 “원래 허용되던 것을 제한해 놓고 극적 타협에 성공했다고 선전이 장난이 아니다”며 “돌아가는 거 보고 어느 정도 예상은 했지만 지금 어느 시대에 살고 있는 것인지? 역사책 속으로 들어가 있는 느낌이다”고 말했다.

서 대표는 페이스북 댓글로 “시민들은 커다란 대체 이동수단을 잃었고 택시가 안 잡히는 시간대에 불편함은 여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풀러스는 2월26일 ‘풀러스제로’ 요금제를 새롭게 도입했다.

서 대표는 풀러스제로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웬만한 기업들은 이런 결정을 내리기 어려울 것”이라며 “풀러스는 미래에 투자하는 혁신 스타트업이기 때문에 이렇게 결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풀러스제로 서비스는 모빌리티시장에 관한 우리의 강한 의지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풀러스제로는 거리에 따라 부과되는 요금 없이 탑승자가 운전자에게 줄 팁만 호출 전에 설정하는 방식의 요금제다. 팁은 최대 5만 원으로 정해져있고 수수료 없이 전액 운전자에게 돌아간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여객운수사업법상 예외조항이 ‘출퇴근시간’이라고 애매하게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여러 자의적 해석이 나오는 것”이라며 “카풀을 둘러싸고 이런 갈등상황이 발생하고 사회적 대타협기구까지 오기 전에 국토교통부가 진작 관련 지침이나 가이드라인을 내놨어야 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