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예리 기자 yrcho@businesspost.co.kr2019-03-08 17:46:22
확대축소
공유하기
LG전자와 삼성전자가 앞으로 학교와 사무실 등 기업 대상(B2B)시장에서 공기관리기기의 공급을 늘릴 기회를 잡았다.
최근 미세먼지 경보가 잦아지는 등 대기환경이 급격하게 악화함에 따라 국회를 중심으로 공공기관 등에 공기청정 시스템을 의무적으로 설치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LG전자와 삼성전자의 공기 솔루션사업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 송대현 LG전자 H&A사업본부장 사장(왼쪽), 김현석 삼성전자 CE부문 사장.
8일 LG전자와 삼성전자에 따르면 두 회사는 LG전자를 시작으로 ‘미세먼지연구소’를 열고 주거형 공기청정기뿐 아니라 교육과 상업, 숙박 등 여러 공간에 맞는 기업형 공기관리 시스템 개발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개인 소비자를 넘어 기업과 기업 사이의 거래 형태로 공기관리기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다.
LG전자는 사무실과 학교, 산업용, 호텔용 등 공간별 특성에 맞춘 공기관리 솔루션을 앞세우고 있다.
‘사무환경 솔루션’은 창문을 열기 어려운 사무실의 특성을 반영해 넓은 공간의 공기청정 기능을 높였고 폐열 회수를 이용해 에너지를 절감하는 ‘매립형 환기 시스템’도 개발했다.
‘교육환경 솔루션’으로는 청정면적이 158㎡로 가장 넓은 ‘퓨리케어 공기청정기’를 제시했다. ‘상업형 솔루션’에는 비용 절감에 초점을 맞춰 전력 손실을 최소화한 고효율 전력변환장치를 탑재했다.
삼성전자도 학교와 사무실 등 기업 대상(B2B)시장을 겨냥한 대용량 ‘삼성 큐브’를 선보였다. 또 학교 등 여러 생활공간에 맞춰 미세먼지를 최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토탈 청정 솔루션’도 제시했다.
사업환경도 좋아지고 있다. 미세먼지 관련 국민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국회 교섭단체 3당 정책위의장은 7일 긴급회동을 열고 미세먼지를 재난으로 규정하는 법안 개정에 합의했다.
앞으로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과 실내공기 질 관리법, 학교보건법 등이 현실에 맞게 수정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개정안에 공기청정 시스템의 설치 의무화 관련 내용이 담길 가능성이 높다. 공기질 관리의 법제화를 요구하는 시민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취업포털 인크루트가 성인 남녀 731명을 놓고 설문조사를 한 결과 ‘학교나 직장 및 공공기관 등 주요 시설에 공기청정기 의무 설치’에 찬성한다고 응답한 시민은 90%에 이르렀다. 대중교통에 공기청정시설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은 93%로 그보다 더 높았다.
이런 요구 수준에 비해 공기청정기가 전혀 비치되지 않은 직장이나 대학교는 전체의 3분의 1을 웃도는 38% 수준으로 잠재시장 규모는 상당하다.
문재인 대통령이 LG전자와 삼성전자의 미세먼지연구소를 놓고 특별한 관심을 보였던 점도 앞으로 두 회사의 기업 대상 공기 질 관리사업의 전망에 힘을 싣는다.
문 대통령은 1월15일 구광모 LG그룹 회장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만나 미세먼지를 주제로 이야기를 나눴다.
김수현 정책실장이 “삼성과 LG는 미세먼지연구소가 있다고 들었다”고 언급하자 이 부회장은 “에어컨, 공기청정기 등 때문에 연구소를 세웠고 공부를 더 해서 말씀드리겠다”고 답변했고 구 회장도 “공기청정기 등을 연구하느라 만들었다”고 말했다.
LG전자와 삼성전자는 각각 2018년 10월2일과 올해 1월4일에 공기청정기술을 개발하는 연구소를 만들었다.
LG전자 관계자는 “깨끗한 실내 공기를 향한 사회적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만큼 앞으로 공기청정 관련 사업 규모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한다”며 “지금까지 시장에서 쌓아온 경쟁력을 바탕으로 기업 대상사업에도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예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