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올해 메모리반도체에 증설 투자를 벌이지 않을 것이라는 계획을 내놓았다.
메모리반도체 1위 기업인 삼성전자가 반도체 공급과잉 해소에 강력한 의지를 보이면서 올해 반도체업황 회복에 뚜렷한 청신호가 켜지게 됐다.
전세원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부사장은 31일 콘퍼런스콜을 통해 "삼성전자는 올해 업황 부진과 대외 불확실성을 고려해 반도체 추가 증설을 하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
전 부사장은 중장기적으로 수요 증가에 대응할 수 있는 투자는 검토하겠지만 반도체 생산라인 효율화와 고객사 수요 상황을 고려해 생산 투자를 운영한다는 원칙에 변화가 없다고 밝혔다.
세계 주요 메모리반도체기업은 삼성전자가 이날 콘퍼런스콜을 통해 반도체 투자 축소계획을 내놓는 일을 손꼽아 기다려왔다.
지난해 말부터 본격화된 메모리반도체 공급과잉을 해소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 방법이 D램과 낸드플래시에서 모두 1위 기업인 삼성전자의 시설투자 축소와 출하량 감소로 꼽혔기 때문이다.
삼성전자가 올해 증설 투자를 완전히 중단하겠다며 예상보다 더 강력한 수준의 대응책을 발표한 만큼 SK하이닉스를 포함한 반도체 후발업체들은 한시름을 놓을 수 있게 됐다.
전 부사장은 올해 2분기부터 서버용 반도체의 수요가 반등하고 하반기부터 메모리반도체업황이 전반적으로 점차 개선될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도 내놓았다.
삼성전자를 포함한 반도체기업의 실적 회복 시기가 더욱 앞당겨질 공산이 커졌다.
증권사들은 삼성전자가 이미 반도체 투자 축소계획을 내놓은 SK하이닉스와 마이크론, 웨스턴디지털 등 기업과 달리 지난해와 같은 수준의 대규모 투자를 지속할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바라봤다.
경쟁기업의 반도체 출하량이 부진한 사이 삼성전자가 공급 물량을 대폭 늘리면 시장 지배력을 더욱 키울 수 있고 매출 감소도 방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삼성전자는 무리하게 반도체업황 악화를 주도하기보다 안정적으로 수익성을 지켜내는 일이 효과적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전자가 핵심 사업으로 꼽히는 스마트폰과 디스플레이부문에서 모두 부진한 영업이익을 낸 데다 올해 전망도 밝지 않아 반도체사업의 꾸준한 실적 유지가 절실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삼성전자의 반도체 원가 절감 능력이 이전과 비교해 경쟁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는 점도 무리하게 투자 확대를 추진하기 어려운 현실적 이유로 꼽힌다.
그동안 삼성전자는 64단 3D낸드와 10나노대 D램 등 반도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공정 기술력에서 경쟁사보다 크게 앞서 업황 악화에도 실적을 효과적으로 방어할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
삼성전자는 지금도 90단 이상의 3D낸드와 1Y나노 D램 미세공정을 업계 최초로 개발해 양산하는 등 반도체 기술 선두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SK하이닉스와 마이크론 등 경쟁사의 공정 기술력이 빠르게 발전해 삼성전자를 수개월 차이로 따라잡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며 압도적 기술 격차를 지켜내기 쉽지 않은 상황에 놓여있다.
삼성전자 반도체사업부의 2018년 4분기 영업이익은 2017년 4분기보다 28.7% 감소했다.
SK하이닉스의 영업이익이 같은 기간 0.8% 줄어드는 데 그친 점과 비교하면 반도체업황 악화가 삼성전자에 훨씬 큰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된 셈이다.
반도체 기술의 고도화로 삼성전자가 첨단 공정 개발을 앞당기기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공격적 투자 등 무리한 전략을 사용할 가능성은 낮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결국 삼성전자를 필두로 SK하이닉스와 마이크론, 웨스턴디지털과 도시바메모리 등 주요 반도체기업의 점유율 경쟁도 힘을 잃으며 안정적 업황이 장기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전 부사장은 5세대 3D낸드와 1Y나노 D램의 생산 비중을 꾸준히 늘리는 전환에는 투자를 지속해 삼성전자의 반도체 원가 절감 능력을 꾸준히 강화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