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오너 경영인들의 상당수가 지난해 등기이사에 물러나 연봉을 공개하지 않았다.
오너 가운데 서경배 아모레퍼시픽그룹 회장은 상여금이 5배로 늘어 44억3578만 원을 수령했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43억5천만 원을 받았다. 박용만 두산그룹 회장은 23억3200만 원을 받았다.
|
|
|
▲ 서경배 아모레퍼시픽그룹 회장 |
31일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 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서경배 아모레퍼시픽그룹 회장은 지난해 연봉이 전년보다 두 배 이상 늘었다.
서 회장은 지난해 44억3578만 원에 이르는 연봉을 받았다. 급여는 전년도와 변함이 없었으나 상여금이 6억 원에서 31억 원 가량으로 훌쩍 뛰었다.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은 대한항공, 한진해운, 한진칼, 한국공항 등 상장계열사에서 61억 원이 넘는 보수를 받았다.
조 회장은 한진에서 10억8720만 원을, 대한항공에서 26억2830만 원을, 한진칼에서 16억1063만 원을, 한국공항에서 7억7430만 원을 각각 수령했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지난해 계열사들로부터 43억5천만 원의 보수를 받았다. 신 회장은 롯데쇼핑 롯데제과 롯데케미칼 등에서 각각 15억5천만 원과 11억7500만 원, 16억2500만 원의 보수를 받았다.
신 회장은 현재 코리아세븐과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등의 사내이사도 맡고 있다. 하지만 이들 회사에서 받은 보수는 공시 기준액인 5억 원에 미치지 않아 공개되지 않았다.
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이 롯데쇼핑 롯데제과 호텔롯데로부터 받은 보수는 모두 40억5천만 원으로 집계됐다.
박용만 두산그룹 회장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인 23억3200만 원의 보수를 받았다. 두산그룹에 오너 경영자인 박정원 두산건설 회장은 20억6200만 원, 박지원 두산중공업 부회장은 17억6600만 원을 받았다.
정지선 현대백화점그룹 회장은 지난해 38억9700만 원을 보수를 받았다.
구자열 LS그룹 회장은 지난해 연봉으로 22억4800만 원을 받았다. 구자균 LS산전 회장은 13억8100만 원의 보수를 받았다.
허창수 GS그룹 회장은 지주사인 GS에서 22억1300만 원을 받았다. 허 회장은 급여 19억2900만 원, 상여금 2억8400만 원 각각 수령했다. 허 회장은 2013년 GS건설에서 받았던 보수(17억2700만 원)가 대폭 삭감돼 5억 원 이상 고액 연봉자에서 이름이 빠졌다.
허창수 회장의 동생인 허태수 GS홈쇼핑 부회장은 15억5600만 원 보수를 받았다. 허 회장의 숙부인 허승조 GS리테일 부회장도 12억1300만 원을 받았다.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은 현대엘리베이터에서 10원9400만 원을 수령했다.
현 회장은 급여 8억1000만 원, 상여 2억8400만 원을 받았다. 현 회장은 현대상선에서도 8억8천만 원을 수령했다.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회장은 27억8400만 원의 보수를 받았다. 박 회장은 급여 24억1900만 원, 기타 근로소득(복리후생비 등) 3억6400만 원, 특별상여 100만 원을 수령했다.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는 18억1700만 원을 수령했다. 급여는 10억 원, 상여 7억8800만 원, 기타근로소득이 3천만 원이다.
오너 경영인 가운데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은 보수가 공개되지 않았다.
이재현 CJ그룹 회장은 지난해 연봉이 0원이다. CJ그룹은 이 회장이 건강이 좋지 않아 정상적 경영활동을 하지 못해 보수를 받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미경 부회장은 CJ그룹의 등기임원 명단에 없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계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