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성수 한국수출입은행장, 김도진 IBK기업은행장 등 국책은행을 이끄는 은행장들이 신년사에서 국책은행의 금융 지원 역할을 강조했다.
은성수 행장이 신년사에서 “금융 때문에 수주가 어렵다는 말이 나오지 않아야 한다”며 해외 수주에 적극적 지원을 강조했다고 수출입은행이 2일 전했다.
은 행장은 "해외 신시장 개척을 중점 추진사항으로 꼽고 수출입은행이 위험국가의 프로젝트에 금융 지원은 물론 초기 사업 개발, 주선, 자문 등을 통해 해외 수주를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2019년 경제정책 방향'을 통해 '글로벌 플랜트·건설·스마트시티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가동하기로 하고 신북방·신남방 경제협력 정책을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며 “이 과정에서 수출입은행은 초고위험 프로젝트에 1조 원을 투자키로 한 만큼 수출입은행 역할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은 행장은 “고객과 우산을 함께 쓰는 진정한 정책금융 기관이 되어야 한다”며 “위기에 직면한 기업들이 자금 걱정없이 경쟁력 강화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수출입은행의 존재이유”라고 강조했다.
그는 남북경협을 놓고는 “수출입은행이 남북 교류 협력의 중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며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의 개발협력 노하우와 국제개발기구 네트워크, 수출금융의 중장기 여신 경험 등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방안도 미리 강구해 보자”고 말했다.
김도진 행장도 2일 시무식에서 “기업은행이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등 서민의 안전한 삶과 성장을 돕는 동반자가 돼야 한다”며 기업은행의 역할을 강조했다.
김 행장은 신년사를 통해 “불확실성과 잠재적 위기 속에서 ‘유비무환’의 자세로 기업은행의 사명과 가치를 실천에 옮기자”며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과 신성장·혁신성장기업을 위한 투자 생태계 조성과 금융 지원을 새해 주요 사업으로 제시했다.
변화와 혁신의 지향점은 최적화라고 보고 '중기금융 초격차' 유지를 위한 영업망 최적화, 시대적 흐름에 맞는 조직문화 최적화. 데이터 기반의 최적화된 고객경험 제공이라는 세 가지 최적화 과제를 제시했다.
또 고객, 동료, 사회로부터의 신뢰를 얻기 위한 정도경영과 윤리의식을 강조하고 철저한 건전성 관리, 금융정보보호와 영업현장의 안전을 강조했다.
기업은행은 시무식에서 ‘인권경영 금융을 실천하는 행복과 희망의 동반자’라는 비전을 제시하며 IBK인권경영 선언식도 열었다.
김 행장은 “인권보호, 인권존중, 인권침해 구제라는 세 가지 원칙 아래 임직원과 고객, 주주, 협력기업 등 모두의 인권이 우선시 되는 인권경영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김 행장은 시무식을 마치고 새해 첫 일정으로 통영, 거제, 여수, 순천 등 내륙 최남단의 영업현장을 방문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
은성수 행장이 신년사에서 “금융 때문에 수주가 어렵다는 말이 나오지 않아야 한다”며 해외 수주에 적극적 지원을 강조했다고 수출입은행이 2일 전했다.

▲ 은성수 한국수출입은행장.
은 행장은 "해외 신시장 개척을 중점 추진사항으로 꼽고 수출입은행이 위험국가의 프로젝트에 금융 지원은 물론 초기 사업 개발, 주선, 자문 등을 통해 해외 수주를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2019년 경제정책 방향'을 통해 '글로벌 플랜트·건설·스마트시티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가동하기로 하고 신북방·신남방 경제협력 정책을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며 “이 과정에서 수출입은행은 초고위험 프로젝트에 1조 원을 투자키로 한 만큼 수출입은행 역할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은 행장은 “고객과 우산을 함께 쓰는 진정한 정책금융 기관이 되어야 한다”며 “위기에 직면한 기업들이 자금 걱정없이 경쟁력 강화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수출입은행의 존재이유”라고 강조했다.
그는 남북경협을 놓고는 “수출입은행이 남북 교류 협력의 중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며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의 개발협력 노하우와 국제개발기구 네트워크, 수출금융의 중장기 여신 경험 등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방안도 미리 강구해 보자”고 말했다.
김도진 행장도 2일 시무식에서 “기업은행이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등 서민의 안전한 삶과 성장을 돕는 동반자가 돼야 한다”며 기업은행의 역할을 강조했다.
김 행장은 신년사를 통해 “불확실성과 잠재적 위기 속에서 ‘유비무환’의 자세로 기업은행의 사명과 가치를 실천에 옮기자”며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과 신성장·혁신성장기업을 위한 투자 생태계 조성과 금융 지원을 새해 주요 사업으로 제시했다.

▲ 김도진 IBK기업은행장.
변화와 혁신의 지향점은 최적화라고 보고 '중기금융 초격차' 유지를 위한 영업망 최적화, 시대적 흐름에 맞는 조직문화 최적화. 데이터 기반의 최적화된 고객경험 제공이라는 세 가지 최적화 과제를 제시했다.
또 고객, 동료, 사회로부터의 신뢰를 얻기 위한 정도경영과 윤리의식을 강조하고 철저한 건전성 관리, 금융정보보호와 영업현장의 안전을 강조했다.
기업은행은 시무식에서 ‘인권경영 금융을 실천하는 행복과 희망의 동반자’라는 비전을 제시하며 IBK인권경영 선언식도 열었다.
김 행장은 “인권보호, 인권존중, 인권침해 구제라는 세 가지 원칙 아래 임직원과 고객, 주주, 협력기업 등 모두의 인권이 우선시 되는 인권경영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김 행장은 시무식을 마치고 새해 첫 일정으로 통영, 거제, 여수, 순천 등 내륙 최남단의 영업현장을 방문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