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내년 경제와 산업 활력 회복을 위해 자동차산업과 조선산업 등과 관련해 후속대책을 이어가는 데 힘쓴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8일 신년사에서 “경제와 산업의 활력 회복과 재도약을 위해 모든 정책역량을 집중하겠다”며 “우선 12월 말 발표한 ‘제조업 혁신전략’과 ‘자동차 부품산업 활력 제고방안’, ‘조선산업 활력 제고방안’의 후속조치를 만드는 데 속도를 내겠다”고 말했다.
 
성윤모, 산업부 신년사에서 “자동차와 조선업 후속대책 서두르겠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14개 지역에서 경제활력을 회복하기 위한 프로젝트에서도 빠르게 성과를 가시화하겠다고 약속했다.

자동차와 조선업종에서 일감 확보, 세제·금융지원 등도 차질 없이 실행에 옮기기로 했다.

열 수송관이나 도시가스 배관 등 장기 사용 에너지시설에 안전관리체계도 새롭게 정비하기로 했다.

한국 산업의 근본적 경쟁력을 높이는 일에도 힘쓰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성 장관은 “소재·부품·장비는 1조 원 수준의 연구·개발(R&D) 투자를 통해 자립화를 넘어 세계화하는 데 매진하고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산업은 대규모 투자와 기술 개발이 적기에 이행될 수 있도록 지원해 후발국과 큰 격차를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자동차와 조선 산업에서 친환경과 스마트 기술을 통해 재도약에 박차를 가하고 섬유와 가전산업은 4차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해 첨단산업으로 탈바꿈하겠다”며 “에너지신산업, 항공, 로봇산업, 알키미스트(Alchemist) 프로젝트 등 미래 신산업에 과감히 도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에너지 전환정책도 계속 추진하기로 했다.

성 장관은 “폭넓은 소통을 기반으로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을 수립해 에너지의 공급과 소비, 산업을 포괄하는 에너지 전환의 중장기 목표를 담아내도록 하겠다”며 “에너지 소비구조를 혁신하기 위한 ‘국가 에너지 효율 혁신전략’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재생에너지 보급을 지속해서 확대하고 계획입지제도 도입, 주민참여형 사업 확대 등으로 재생에너지의 지역 수용성도 높여 나가는 것으로 방침을 세웠다.

통상정책과 관련해서는 2018년에 이어 2019년에도 수출 규모 6천억 달러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성 장관은 “수출금융을 12조 원 확대해 모두 217조 원을 지원하고 중소·중견기업이 세계적 대기업의 공급망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며 “아세안, 인도 등 신남방 지역과는 자동차, 소재·부품사업에서 협력하고 러시아 등 신북방 지역에는 에너지 기술 분야로 진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이 장기화하고 있고 국제 금융시장에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세계적으로 성장세가 둔화할 것으로 바라봤다.

후발국의 추격과 경쟁의 격화로 제조업 등 한국 주력산업에 어려움이 커지고 투자와 고용활력도 떨어져 있다고도 짚었다.

성 장관은 “2018년 한국 수출이 미국과 중국 무역분쟁과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 어려움 속에서도 6천억 달러를 돌파했고 4년 연속 외국인 투자도 200억 달러를 달성했다”며 “1인당 국민소득도 사상 최초로 3만 달러 시대에 진입했고 신산업, 에너지 전환 등에서도 가시적 성과가 조금씩 나타나고 있다”고 돌아봤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