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가 5G 네트워크를 통합관리하는 장비를 개발했다.

LG유플러스는 10일 가상화 기반 5G 장비의 효율적 관리와 신속한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5G SDN 스위치’를 개발해 5G 상용망에 적용했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 '5G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스위치' 상용망에 적용

▲ LG유플러스 직원들이 ‘5G SDN 스위치’ 컨트롤러 화면을 통해 가상화 장비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5G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DN) 스위치’는 네트워크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 적용돼 서버와 단말에서 발생한 데이터 트래픽을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전송하는 장비를 뜻한다.

5G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스위치는 하나의 컨트롤러가 여러 대 장비의 네트워크 구성을 한 번에 설정하고 변경하는 통합제어로 체계적 운영과 관리가 가능한 점이 특징이다.

이 장비는 기존의 가상 사설망 기능(VPN, Virtual Private Network)을 확장해 서비스나 고객군별로 최대 1600만 개의 가상화된 독립망을 제공할 수 있게 해준다.

보안 강화를 위해 최대 몇 주일이 걸렸던 통신망 설치 및 가동도 최소 몇 시간으로 단축할 수 있다.

이상헌 LG유플러스 NW개발담당은 “이번 5G SDN 스위치 적용으로 보안이 강화돼 5G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이후 코어와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을 연동해 더욱 다양한 5G 서비스 제공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LG유플러스는 스위치의 상용망 적용을 위해 7월 시스코와 함께 장비 개발을 마치고 5G 패킷 교환기 등 가상화된 5G 코어장비와의 연동 테스트를 진행해 왔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은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