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과 KT가 12월 중에 와이브로(무선 광대역통신) 서비스를 종료한다.
SK텔레콤은 12월31일, KT는 12월16일부터 31일까지 순차적으로 와이브로(무선 광대역통신) 서비스를 종료한다고 7일 밝혔다.
KT는 LTE로 전환하지 못한 와이브로 가입자가 불편을 겪지 않도록 16일 오전 10시 서울 지역을 시작으로 단계적으로 종료하기로 했다. 가입자들은 이 기간 동안 기본 제공 데이터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와이브로 서비스 중단과 관련해 SK텔레콤과 KT는 ‘LTE 전환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2020년 12월 말까지 운영하기로 했다.
두 회사는 기존 와이브로 가입자들이 추가 요금을 부담하지 않고 2년 동안 LTE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요금제를 각각 출시했다.
LTE 서비스로 전환하면 단말기를 무료로 지원하는 서비스도 내놓았다.
SK텔레콤은 ‘T포켓파이A’와 ‘T포켓파이Z’, ‘T포켓파이1’ 등 3가지 종류의 단말기를 무료로 지원한다. ‘T포켓파이’는 이동통신신호를 Wi-Fi나 블루투스로 변환해 주는 휴대용 인터넷 공유기다.
‘T포켓파이A’는 약정 조건이 없지만 ‘T포켓파이Z’와 ‘T포켓파이1’은 24개월 약정을 해야 무료로 받을 수 있다.
KT는 24개월 약정을 한 LTE 서비스 가입자에게는 4종의 단말기(LTE Slim Egg2, All-day Egg, LTE egg+I, LTE egg+C)를 무료로 제공하며 약정 조건이 없는 단말기(LTE Egg mini)도 지원한다.
SK텔레콤과 KT는 와이브로 가입자가 LTE 서비스로 전환하거나 와이브로 서비스를 해지하면 약정기간 전 서비스 해지로 발생하는 위약금이나 단말기 잔여 할부금을 전부 면제하기로 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고두형 기자]
SK텔레콤은 12월31일, KT는 12월16일부터 31일까지 순차적으로 와이브로(무선 광대역통신) 서비스를 종료한다고 7일 밝혔다.

▲ 박정호 SK텔레콤 대표이사 사장(왼쪽), 황창규 KT 대표이사 회장.
KT는 LTE로 전환하지 못한 와이브로 가입자가 불편을 겪지 않도록 16일 오전 10시 서울 지역을 시작으로 단계적으로 종료하기로 했다. 가입자들은 이 기간 동안 기본 제공 데이터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와이브로 서비스 중단과 관련해 SK텔레콤과 KT는 ‘LTE 전환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2020년 12월 말까지 운영하기로 했다.
두 회사는 기존 와이브로 가입자들이 추가 요금을 부담하지 않고 2년 동안 LTE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요금제를 각각 출시했다.
LTE 서비스로 전환하면 단말기를 무료로 지원하는 서비스도 내놓았다.
SK텔레콤은 ‘T포켓파이A’와 ‘T포켓파이Z’, ‘T포켓파이1’ 등 3가지 종류의 단말기를 무료로 지원한다. ‘T포켓파이’는 이동통신신호를 Wi-Fi나 블루투스로 변환해 주는 휴대용 인터넷 공유기다.
‘T포켓파이A’는 약정 조건이 없지만 ‘T포켓파이Z’와 ‘T포켓파이1’은 24개월 약정을 해야 무료로 받을 수 있다.
KT는 24개월 약정을 한 LTE 서비스 가입자에게는 4종의 단말기(LTE Slim Egg2, All-day Egg, LTE egg+I, LTE egg+C)를 무료로 제공하며 약정 조건이 없는 단말기(LTE Egg mini)도 지원한다.
SK텔레콤과 KT는 와이브로 가입자가 LTE 서비스로 전환하거나 와이브로 서비스를 해지하면 약정기간 전 서비스 해지로 발생하는 위약금이나 단말기 잔여 할부금을 전부 면제하기로 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고두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