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윤모 “자동차부품산업 등 제조업대책 시리즈로 내놓겠다”

▲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5일 경기도 고양시 백석역 근처에서 발생한 지역 난방공사 온수 배관 파열 사고 현장을 찾아 관계자 보고를 받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제조업 관련 대책을 두 달에 걸쳐 잇달아 내놓기로 했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제조업 상황을 매우 엄중하게 보고 있다”며 “관계부처와 협업을 통해 자동차 부품산업 등 제조업 관련 대책을 12월과 2019년 1월에 걸쳐 시리즈로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책 마련을 지시한 문재인 대통령에게 12월 셋째 주 업무보고를 계기로 제조업 혁신전략과 자동차 부품산업 활력 제고방안을 업계와 집중적으로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성 장관은 지금 제조업 상황을 매우 엄중하게 다루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자동차, 조선 등 고용 효과가 높은 주력산업이 큰 어려움을 마주하고 있고 군산 등 주요 산업단지도 활력이 저하된 상태”라며 “미국과 중국의 통상분쟁 등 대외적 요인과 더딘 산업구조 전환 속도 등 구조적 요인도 단기간 안에 해결하기 쉽지 않다”고 바라봤다.

산업부는 특히 생산과 고용 위축으로 시급히 대응이 필요한 조선업 및 자동차 부품 분야에 대해 우선적으로 활력 제공방안을 마련할 방침을 세웠다.

조선업과 자동차 부품 분야를 중심으로 일감 확보, 자금 유동성 지원 등을 통해 기업들이 단기적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힘을 보태기로 했다.

기업들이 친환경·고부가가치 산업 생태계로 진출하도록 도와 근본적 경쟁력을 높이는 데도 힘쓰기로 했다.

성 장관은 “정부가 일방적으로 결정하고 민간이 따라가는 방식이 아니라 정부와 민간이 함께 일을 찾아가는 노력을 하겠다”며 “민간이 주도적 노력을 하고 정부가 함께 리스크를 다루는 정책을 추진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앞으로 과감한 규제 개혁을 통해 새로운 시장 창출과 연구개발(R&D) 도전이 이뤄지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에너지 전환정책 차원에서 추진하는 수소차 육성, 재생에너지 확산을 관련 제조업 성장의 기회로 활용하는 방안도 세우고 있다.

성 장관은 “2019년 1월 규제 완화를 위한 규제샌드박스법 시행과 함께 혁신적 신산업 사업모델이 창출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고양 열수송관 파열사고와 관련해 정밀 진단을 포함해 1998년 이전 설치된 노후관을 전수조사하기로 했다.

성 장관은 “고양 열수송관 파열 사고 원인에 정밀 진단이 필요하다”며 “1998년 이전 설치된 노후관에 대해 앞으로 1주일 동안 긴급 점검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1998년 이전 열수송관은 경기도 일산, 분당 지역 등에 686km가 설치돼 있고 한국지역난방공사가 관리하는 열 수송관 2120km 가운데 3분의 1가량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