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카드 수수료 인하를 위해 카드사에 마케팅비용을 축소하라는 권고안 마련에 착수하면서 카드사들의 부가 서비스도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카드 이용도 함께 감소해 카드사 실적에도 악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 2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카드업계, 관련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카드산업 건전화 및 경쟁력 제고 태스크포스’를 이번 주 안에 발족해 카드사의 마케팅 비용 조정을 집중적으로 논의한다. |
2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카드업계, 관련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카드산업 건전화 및 경쟁력 제고 태스크포스’를 이번 주 안에 발족해 카드사의 마케팅비용 조정을 집중적으로 논의한다.
정부는 태스크포스를 통해 부가 서비스 축소를 뼈대로 하는 카드사 마케팅비용 조정안을 내년 1월까지 마련하고 여신전문금융업법 시행령과 감독 규정도 이를 토대로 개정한다. 이는 카드 수수료 인하를 위한 첫 단계 작업이다.
업계에서는 정부가 카드사의 마케팅비용 축소를 권고하면 카드사들의 실적은 악화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신용카드의 최대 장점은 여신 기능과 부가 서비스”라며 “마케팅비용 축소를 위해 부가 서비스를 줄이거나 반대로 부가 서비스를 유지하고자 연회비를 올린다면 실적 감소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바라봤다.
정부는 카드사들이 이용자로부터 받는 연회비에 비해 너무 많은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금융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카드사는 지난해 이용자들에게 5조8천억 원 수준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했지만 이용자들로부터 받은 연회비는 8천억 원 수준에 그쳤다.
정부는 연회비보다 7배나 많은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늘어나고 있는 카드사의 마케팅비용을 조정하면 카드사의 수수료 인하 여력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카드사의 마케팅비용은 2014년 4조1천억 원에서 2017년 6조1천억 원으로 늘어났다.
총수익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상승세가 이어져 2014년 20%에서 지난해 25.8%에 이르렀다.
이를 두고 과도한 시장 개입이라는 시선도 있지만 정부는 카드사들이 경쟁 심화로 마케팅비용을 자율적으로 감축하기 어렵다는 점을 마케팅비용 조정에 나서는 근거로 제시하고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시장 점유율 확보를 위해 카드사들이 과도한 경쟁을 펼쳐 마케팅비의 자율적 감축 어렵다”며 “정부와 업계가 함께 마케팅 관행 개선방안을 찾아볼 것”이라고 말했다.
카드사들은 우선 혜택이 큰 부가 서비스부터 줄여나갈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에서는 항공사 마일리지를 무제한으로 적립할 수 있는 부가 서비스와 공항 라운지의 고급 레스토랑을 이용할 수 있는 부가서비스 등이 우선 사라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주는 카드는 연회비를 더 받을 가능성이 높다. 통신사 할인, 대중교통 할인, 각종 프랜차이즈 브랜드 할인 등을 함께 탑재하고 있는 카드들이 이에 해당된다.
법인카드는 그동안 연회비 면제가 관행적으로 이뤄졌지만 이 역시도 내년 상반기부터 없어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법인카드 연회비 면제를 명문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감병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