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그룹의 정상화가 안갯길이다. 앞이 잘 보이지 않는다. 이대로 놔 두면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도 있다는 비관론이 팽배하다.

그룹 회생을 위해 강력한 자구책을 추진중인 현대그룹에 대해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현대그룹이 내놓은 자구안을 모두 실행한다 해도 업황이 좋지 않아 미래가 불확실한 점이 이런 의견의 근거로 제시됐다.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은 박근혜 대통령과 함께 독일을 순방 중이다.


  현대그룹 정상화, 길이 안 보인다  
▲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 <뉴시스>
한국신용평가의 류승협 기업그룹평가본부 실장은 24일 여의도 63빌딩 한국신용평가 본사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현대그룹에 대해 정부가 지원을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현대상선뿐 아니라 우리나라 해운업종과 세계 경쟁사들 간의 경쟁력 차이가 심각”하다며 “정부차원에서 필요한 지원은 해 줘야 한다”고 말했다.


현대그룹은 지난해 12월 3조3000억 원에 이르는 자구안을 내놓았다. 이후 3개월 동안 KB금융지주 주식 매각, 컨테이너박스 매각, 현대엘리베이터 유상증자 등으로 3471억 원의 유동성을 확보했다. 현재 진행중인 신한금융지주 주식 매각과 현대상선 LNG운송사업부 매각을 완료하면 1조5천억 원이 넘는 자금이 확보된다.


현대그룹이 유동성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한국신용평가는 지난 17일 현대상선, 현대엘리베이터, 현대로지스틱스의 신용등급을 ‘BB+’로 세단계 하향조정했다. BB+는 투자부적격등급으로 투기등급에 해당한다. 같은 해운사인 한진해운의 신용등급은 BBB-로 투자적격등급을 유지했다.

한국신용평가는 “자구계획을 세운 현대상선의 핵심사업 매각이 이뤄지면 재무비율이 일정 수준 좋아지고 유동성 측면에서 단기적으로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중장기적 관점에서 사업안정성과 영업경쟁력이 나빠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신평의 계산대로 현대그룹이 자구안을 마무리하면 부채비율이 지난해 말 1006%에서 400%까지 낮아질 수 있다.

그러나 문제는 수익성이다. 유동성 확보로 올해 필요한 자금을 동원한다 해도 당장 내년에 만기가 돌아오는 차입금이 1조1천억 원이다. 류승협 실장은 “문제는 내년 이후”라며 “내년 만기부담 해소를 위해 수익구조 정상화가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지난해 현대상선의 수익률은 -3.3%에 그쳤다.

현정은 회장은 해외 출장길에 올라있다. 현 회장은 25일부터 28일까지 박근혜 대통령의 독일 방문에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했다. 현 회장의 박 대통령 수행은 벌써 여섯 번째다. 경제단체장인 허창수 전경련 회장과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을 제외하면 대기업 총수 가운데 최다다.

현 회장의 이번 독일 방문 기간은 25일 현대상선 창립기념일과 28일 현대상선과 현대엘리베이터 주주총회일과 날짜가 겹친다. 현대그룹 관계자는 현 회장은 이번 경제사절단 일정 중 현대그룹과 관련된 자체 일정은 소화하지 않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