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평가에 비금융정보를 활용하는 ‘비금융정보 전문 신용평가사’가 만들어져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계층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원회가 21일 발표한 ‘데이터경제 활성화를 위한 신용정보산업 선진화방안’에 따르면 2019년 하반기부터 비금융정보 전문 신용평가사를 도입해 금융 이력이 부족한 계층의 신용평점이 개선된다.
 
최종구 "신용평가에 비금융정보도 활용해 금융 이용자 넓힌다"

▲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21일 국회에서 열린 ‘개인정보 보호 및 활용’ 당정 협의회에서 “통신료 납부나 쇼핑 결제 정보와 같은 비금융 정보를 신용평가에 이용하면 청년이나 가정주부들도 금융기관의 서비스를 이용할 기회가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신용등급은 금융정보를 기준으로 매겨지기 때문에 금융거래가 부족한 청년이나 가정주부는 신용에 문제가 없어도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렵다. 비금융정보를 신용평가에 도입하면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 

비금융정보 전문 신용평가사는 공공요금 납부 정보와 온라인쇼핑 정보, 사회관계망(SNS) 정보 등을 활용해 개인신용을 평가하게 된다.

온라인 쇼핑 정보와 사회관계망 정보는 개인의 동의를 받아 사용한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국회에서 열린 ‘개인정보 보호 및 활용’ 당정 협의회에서 “통신료 납부나 쇼핑 결제 정보와 같은 비금융정보를 신용평가에 이용하면 청년이나 가정주부들도 금융기관의 서비스를 이용할 기회가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재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