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가 학과제 폐지를 뼈대로 한 학사구조 개편안을 추진하면서 갈등이 확산되고 있다.
중앙대 부총장과 학장을 지낸 교수들이 정면으로 반대의사를 표시하는 등 반대가 확산되고 있다.
![]() |
||
▲ 박용성 중앙대 이사장 |
부총장과 대학원장, 단과대학장을 지낸 전현직 교수 18명은 10일 중앙대 본관 총장실을 방문해 이용구 총장을 만나 항의 설명서를 전달했다.
남태우 전 문과대학장은 “전직 부총장 등이 일심동체로 학교를 염려하는 측면에서 찾아왔다”며 “1천 명이 넘는 교수들이 대다수 패닉상태이니 마음을 헤아려 달라”고 주문했다.
박영근 전 문과대학장도 “이번 학사구조 개편안은 확실히 문제가 있다”며 “교수들의 마음을 잘 읽어달라"고 당부했다.
이들은 기자회견을 열어 "학교의 앞날이 우려돼 더 이상 침묵할 수 없었다"며 "대학본부가 단기적 성과에만 관심을 둬 학교 명성을 쌓는데 오랫동안 기여해 온 많은 학과를 없애고 이 학과 교수와 학생들을 홀대하고 있는 것이 아닌지 걱정스럽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이들은 "사회와 취업시장의 변화에 대학이 적극 적응하고 변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데 누구도 이의를 달 수 없다"면서도 "중앙대의 100년 전통을 만드는 데 기여한 것은 한두 학과만이 아닌 데다 계획안이 지나치게 취업 중심으로만 짜여있다는 항간의 평가에 본부 책임자들은 귀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중앙대학교는 지난달 26일 학사구조 선진화 계획에 따라 2016학년도 학사구조 개편안을 발표했다.
학과제를 폐지하고 단과대학별로 신입생을 뽑는 내용이 개편안의 뼈대인데 신입생들은 단과대 소속으로 기초와 교양과목을 수강한 뒤 2학년 2학기 때 전공을 결정하게 된다.
중앙대는 2016년부터 모집단위를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경영경제대학 등 단과대학별로 하고 문이과 통합교육과정이 도입되는 2021년부터 모집단위를 더욱 넓혀 인문사회계열, 자연공학계열 등 계열별로 신입생을 모집하기로 했다. 중앙대의 이런 계획에 대해 반대의 목소리가 적지 않다.
중앙대 교수협의회 전현직 회장들과 교수평의원회 전직 의장들로 구성된 '교수대표 비상대책위원회'는 오는 11일까지 중앙대 전체 교수를 대상으로 이 계획안에 대한 의견을 묻는 투표를 벌이고 있다.
사회과학대와 인문대, 자연과학대 등 일부 단과대 교수들도 지난 6일 항의성명을 내놓고 폐과에 반대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우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