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신항이 국내 최초 '자동화 항만'으로 자리잡으려면 넘어야 할 산도 많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해양수산부는 부산신항의 컨테이너 터미널 자동화 시스템 도입을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부산신항의 '자동화 항만' 시급, 일자리 감소는 해수부 고민

▲ 완전자동화된 네덜란드 로테르담항의 모습. <현대상선>


해양수산부의 부산신항 자동화 계획은 현재 해운업계에 불고 있는 첨단기술 도입 바람에 발맞추기 위한 것이다.

글로벌 대형 선사들은 사물인터넷(IoT), 블록체인 등 4차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로 여겨지는 첨단기술을 선박이나 컨테이너에 적용하는 방법을 두고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이런 추세에 따라 해운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항만에도 첨단기술을 사용한 자동화 시스템 도입이 진행되고 있다. 터미널 자동화 시스템은 인공지능(AI)를 기반으로 항만의 모든 작업을 사람의 노동력이 필요 없이 자동으로 운영하는 시스템이다. 

해양수산부는 부산신항의 자동화가 우리나라의 항만 경쟁력을 높이고 미래 일자리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  

항만 자동화가 다른 국가들보다 늦어지면 결국 항만 자동화 기술을 지닌 업체들 사이의 경쟁에서 우리나라 기업이 밀릴 수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주요 항만들 가운데는 이미 자동화가 이뤄졌거나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독일의 리서치회사인 DS리서치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3년까지 60개의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 건설 작업이 계획돼 있다. 이에 따라 2023년에는 세계 컨테이너 터미널 하역 비중의 3분의 1 정도가 자동화 항만에서 처리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부산신항이 자동화를 이루기까지 아직 갈 길이 멀고 넘어야 할 산도 많다. 무엇보다도 항만 자동화가 필연적으로 불러올 수밖에 없는 일자리 감소 문제로 노동계의 반발이 크다. 

해양수산부는 노동계와 협의를 위해 10월24일 부산항운노동조합, 부산항만물류협회, 부산항만공사와 함께 ‘항만 자동화 도입의 타당성 검토와 일자리대책 등 마련을 위한 노·사·정 업무협약’을 맺고 고용안정대책 등을 논의하기로 했다. 

협약서에 따르면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항만운송노동연구원 등 2개 연구단체가 공동으로 항만 자동화 타당성 분석, 일자리 대책, 항만의 중장기 발전 전략 등을 연구하게 된다.

아직 기술 발전이 충분하지 않아 자동 하역이 오히려 반자동 하역보다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다. 중국의 양산항 등 올해 개장한 자동화 터미널은 생산성이 아직 반자동화 터미널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렇더라도 자동화 항만의 생산성이 계속해서 높아지고 있고 곧 반자동화 항만을 추월할 것이라는 의견을 부인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또한 항만에 사람이 없기 때문에 각종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은 점, 무인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정시성이 높은 점 등을 살피면 지금 상태로도 자동화 항만이 반자동화 항만보다 효율성이 높다는 주장도 나온다. 

한 해운업계 관계자는 “항만 자동화는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흐름이고 우리는 이미 늦은 상황”이라며 “현재 부산항이 세계 항만 순위에서 계속 뒷걸음질치고 있는데 부산항의 항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항만 자동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윤휘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