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이 에틸렌의 가격상승에 힘입어 3분기 실적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다만 4분기부터는 실적개선세가 꺾일 수도 있다.
배은영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23일 “글로벌 석유화학기업들이 최근 설비가동에 어려움을 겪거나 정기보수를 진행하면서 에틸렌 등 화학제품이 가격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롯데케미칼 등 화학기업들이 3분기 실적성장의 기회를 잡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
||
▲ 김교현 롯데케미칼 사장. |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에틸렌 가격은 8월 셋째주 기준 톤당 1200달러에 이르렀다. 6월 말에 비해 36.4% 올랐다. 설비고장과 정기보수 등으로 로열더치쉘을 비롯한 글로벌 기업들의 에틸렌 생산량이 줄었기 때문이다.
롯데케미칼은 에틸렌 가격의 급등세에 힘입어 3분기에 실적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배 연구원은 롯데케미칼이 3분기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3조8420억 원, 영업이익 6560억 원을 거둘 것으로 추산했다. 지난해 3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12.1%, 영업이익은 1.9% 증가하는 것이다.
하지만 4분기에도 에틸렌사업에서 실적성장을 이어갈지는 불투명하다.
미국 석유화학기업들이 에탄분해설비를 증설하면서 4분기부터 에틸렌 공급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다우케미칼과 셰브론이 각각 150만 톤 규모의 에틸렌생산설비를 늘려 하반기부터 가동에 들어간다. 엑손모빌도 내년 상반기 완공을 목표로 증설을 진행하고 있다.
강동진 현대차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석유화학회사의 생산량 증가로 에틸렌 스프레드(제품가격에서 원재료가격을 뺀 것)의 증가폭이 제한될 수 있을 것”이라며 ”롯데케미칼의 4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3% 줄어든 6910억 원을 낼 것”이라고 바라봤다.
반면 중국에서 에틸렌제품의 수요가 확대돼 롯데케미칼이 실적성장세를 지속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조현렬 삼성증권 연구원은 “중국이 폐플라스틱의 수입을 금지하겠다고 발표한 뒤 폴리에틸렌(PE) 가격이 계속 오르고 있다”며 “에틸렌 수요가 늘어나면서 증설에 따른 공급량 증가를 흡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용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