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9월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폭이 6.27 대책 영향으로 크게 줄었다.
16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9월중 가계대출 동향(잠정)’에 따르면 2025년 9월 금융권 가계대출은 한 달 전보다 1조1천억 원 증가했다.
8월(4조7천억 원)과 비교해 증가폭이 크게 축소됐다.
6.27 규제 영향에 더해 전세자금 수요가 적은 계절적 요인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됐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주택담보대출이 3조6천억 원 증가했다. 은행권에서 2조5천억 원, 제2금융권에서 1조1천억 원이다.
주담대 증가세는 8월(5조1천억 원)보다 둔화했다.
기타대출은 2조4천억 원이 줄었다. 8월(4천억 원 감소)보다 감소폭이 확대됐다. 신용대출 감소폭이 8월 3천억 원에서 9월 1조6천억 원으로 커진 영향으로 풀이됐다.
업권별로 보면 은행권 가계대출은 2조 원 증가했다. 증가폭이 전월(4조1천억 원)보다 축소됐다.
은행 자체 주담대는 9월 1조4천억 원 늘었다. 8월 증가폭 2조7천억 원에서 둔화된 증가세다.
정책성대출 증가폭은 1조1천억 원으로 8월과 같은 수준이 유지됐다.
9월 기타대출은 5천억 원 줄었다. 8월 3천억 원 증가에서 감소세로 돌아섰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9천억 원 감소했다. 8월(6천억 원 증가)과 비교해 감소세로 전환했다.
보험에서 2천억 원, 여신전문금융회사(여전사)에서 1조1천억 원, 저축은행에서 5천억 원이 줄었다. 반면 상호금융권에서는 9천억 원 늘었다.
금융위원회는 “9월 가계대출 증가세가 상당 수준 안정화되고 있다”면서도 “최근 수도권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이 과열 양상을 보이면서 주택거래량이 일부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시차를 두고 가계대출 증가세가 다시 확대될 우려가 있는 만큼 보다 선제적 가계대출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10.15 부동산 대책 관련해서는 “현장점검 등을 통해 대출 현황, 일선 창구 동향 등을 집중 모니터링하겠다”며 “불법·편법 거래 조사 등을 면밀히 실시해 대책을 시장에 조기 안착시킬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조혜경 기자
16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9월중 가계대출 동향(잠정)’에 따르면 2025년 9월 금융권 가계대출은 한 달 전보다 1조1천억 원 증가했다.

▲ 9월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폭이 크게 둔화했다.
8월(4조7천억 원)과 비교해 증가폭이 크게 축소됐다.
6.27 규제 영향에 더해 전세자금 수요가 적은 계절적 요인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됐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주택담보대출이 3조6천억 원 증가했다. 은행권에서 2조5천억 원, 제2금융권에서 1조1천억 원이다.
주담대 증가세는 8월(5조1천억 원)보다 둔화했다.
기타대출은 2조4천억 원이 줄었다. 8월(4천억 원 감소)보다 감소폭이 확대됐다. 신용대출 감소폭이 8월 3천억 원에서 9월 1조6천억 원으로 커진 영향으로 풀이됐다.
업권별로 보면 은행권 가계대출은 2조 원 증가했다. 증가폭이 전월(4조1천억 원)보다 축소됐다.
은행 자체 주담대는 9월 1조4천억 원 늘었다. 8월 증가폭 2조7천억 원에서 둔화된 증가세다.
정책성대출 증가폭은 1조1천억 원으로 8월과 같은 수준이 유지됐다.
9월 기타대출은 5천억 원 줄었다. 8월 3천억 원 증가에서 감소세로 돌아섰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9천억 원 감소했다. 8월(6천억 원 증가)과 비교해 감소세로 전환했다.
보험에서 2천억 원, 여신전문금융회사(여전사)에서 1조1천억 원, 저축은행에서 5천억 원이 줄었다. 반면 상호금융권에서는 9천억 원 늘었다.
금융위원회는 “9월 가계대출 증가세가 상당 수준 안정화되고 있다”면서도 “최근 수도권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이 과열 양상을 보이면서 주택거래량이 일부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시차를 두고 가계대출 증가세가 다시 확대될 우려가 있는 만큼 보다 선제적 가계대출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10.15 부동산 대책 관련해서는 “현장점검 등을 통해 대출 현황, 일선 창구 동향 등을 집중 모니터링하겠다”며 “불법·편법 거래 조사 등을 면밀히 실시해 대책을 시장에 조기 안착시킬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조혜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