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블룸버그는 현지시각 18일 미국 상무부가 배터리 핵심 소재인 중국산 흑연에 93.5%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는 예비 판정 결정을 내렸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중국 정부가 자국 흑연 업체에 불공정한 보조금을 지급해 미국 시장에 공정 가격 이하로 판매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최종 반덤핑 결정 기한은 12월5일까지이며, 반덤핑 관세 93.5%가 확정되면 중국산 흑연에 부과되는 관세는 160% 수준이 된다.
배터리 컨설팅 전문기관 CRU그룹은 이번 반덤핑 관세로 국내 배터리 기업들이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예측했다.
이번 조치가 시행되면 미국에 단독 공장을 운영하고 있는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의 생산 비용이 급증해 수익성이 악화될 것으로 분석됐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시간주에, SK온은 조지아주에 단독 공장을 두고 있다. 이번 조치로 인해 해당 공장에서 중국산 흑연 수입이 어려워질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에 대해 흑연 공급망 다각화로 대응할 것이란 입장을 밝혔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비즈니스포스트와 통화에서 “아직 예비판정 결정이기 때문에 최종 결정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면서도 “최종적으로 중국산 흑연에 반덤핑 관세가 부과되더라도 심각한 피해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핵심 원재료 관련해 공급망 다변화를 꾸준히 진행해왔기 때문에 직접적 영향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며 "앞으로도 권역별 원재료 다변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SK온 측은 미국의 흑연 반덤핑 관세와 관련해 말을 아꼈다.
SK온 관계자는 비즈니스포스트와 통화에서 “예비 결정이 내려진지 몇 시간도 지나지 않은 시점이라 회사 내부에서도 사태를 파악하는 단계”라며 “다음 주쯤에는 반덤핑 관세와 관련해 적절한 조치가 취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최재원 기자
블룸버그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중국 정부가 자국 흑연 업체에 불공정한 보조금을 지급해 미국 시장에 공정 가격 이하로 판매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 미국 상무부가 중국산 흑연에 93.5% 반덤핑 예비관세 부과를 결정했다. 사진은 중국 헤이룽장성 지시에 위치한 흑연 생산공장 모습. <연합뉴스>
최종 반덤핑 결정 기한은 12월5일까지이며, 반덤핑 관세 93.5%가 확정되면 중국산 흑연에 부과되는 관세는 160% 수준이 된다.
배터리 컨설팅 전문기관 CRU그룹은 이번 반덤핑 관세로 국내 배터리 기업들이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예측했다.
이번 조치가 시행되면 미국에 단독 공장을 운영하고 있는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의 생산 비용이 급증해 수익성이 악화될 것으로 분석됐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시간주에, SK온은 조지아주에 단독 공장을 두고 있다. 이번 조치로 인해 해당 공장에서 중국산 흑연 수입이 어려워질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에 대해 흑연 공급망 다각화로 대응할 것이란 입장을 밝혔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비즈니스포스트와 통화에서 “아직 예비판정 결정이기 때문에 최종 결정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면서도 “최종적으로 중국산 흑연에 반덤핑 관세가 부과되더라도 심각한 피해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핵심 원재료 관련해 공급망 다변화를 꾸준히 진행해왔기 때문에 직접적 영향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며 "앞으로도 권역별 원재료 다변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SK온 측은 미국의 흑연 반덤핑 관세와 관련해 말을 아꼈다.
SK온 관계자는 비즈니스포스트와 통화에서 “예비 결정이 내려진지 몇 시간도 지나지 않은 시점이라 회사 내부에서도 사태를 파악하는 단계”라며 “다음 주쯤에는 반덤핑 관세와 관련해 적절한 조치가 취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최재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