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삼성전자가 2분기 반도체 부진으로 시장 기대에 크게 못 미치는 실적을 거뒀다.
삼성전자가 2025년 2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74조 원, 영업이익 4조6천억 원을 냈다고 8일 잠정 실적을 발표했다.
1분기보다 매출은 6.49%, 영업이익은 31.24% 감소했고, 2024년 2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0.09%, 영업이익은 55.94% 줄어들었다.
시장 컨센서스(증권사 평균 전망치)였던 6조3천억 원 영업이익을 크게 하회한 것이다.
어닝 쇼크를 기록한 것은 고대역폭메모리(HBM)을 비롯한 반도체 사업이 고전을 면치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파운드리, 시스템LSI사업은 2조 원 이상의 영업손실을 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회사 측은 "메모리 재고 충당과 첨단 AI 칩에 대한 대중 제재 영향 등으로 전 분기 대비 이익이 하락했다"며 “메모리 사업은 재고자산 평가에 따른 충당금 등 일회성 비용이 발생했지만, 개선된 HBM 제품은 고객사와 순차적으로 평가 및 루하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업계는 2분기 회사의 메모리 재고 충당 비용이 7천억~8천억 원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어 “비메모리사업은 첨담 AI 칩 판매 제약과 가동률 저하로 부진했으나, 하반기 수요 회복으로 적자 폭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올해 1분기 실적을 이끈 스마트폰 사업 담당 모바일경험(MX)사업부의 영업이익은 2조원 대로 1분기에 비해 절반 가량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연초 갤럭시S25 신제품 출시 효과과 수그러들고, 비수기에 접어든 영향으로 풀이된다.
TV와 가전 사업도 수요 감소에 관세 부담, 시장 경쟁 심화로 수익성이 악화한 것으로 추산된다.
한편 잠정 실적은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IFRS)에 의거해 추정한 결과이며, 아직 결산이 종료되지 않은 가운데 투자자들의 편의를 돕는 차원에서 제공되는 것이다. 나병현 기자
삼성전자가 2025년 2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74조 원, 영업이익 4조6천억 원을 냈다고 8일 잠정 실적을 발표했다.

▲ 8일 삼성전자는 공시를 통해 2분기 반도체 부진으로 지난해 대비 영업이익이 55.94% 감소했다고 밝혔다.
1분기보다 매출은 6.49%, 영업이익은 31.24% 감소했고, 2024년 2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0.09%, 영업이익은 55.94% 줄어들었다.
시장 컨센서스(증권사 평균 전망치)였던 6조3천억 원 영업이익을 크게 하회한 것이다.
어닝 쇼크를 기록한 것은 고대역폭메모리(HBM)을 비롯한 반도체 사업이 고전을 면치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파운드리, 시스템LSI사업은 2조 원 이상의 영업손실을 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회사 측은 "메모리 재고 충당과 첨단 AI 칩에 대한 대중 제재 영향 등으로 전 분기 대비 이익이 하락했다"며 “메모리 사업은 재고자산 평가에 따른 충당금 등 일회성 비용이 발생했지만, 개선된 HBM 제품은 고객사와 순차적으로 평가 및 루하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업계는 2분기 회사의 메모리 재고 충당 비용이 7천억~8천억 원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어 “비메모리사업은 첨담 AI 칩 판매 제약과 가동률 저하로 부진했으나, 하반기 수요 회복으로 적자 폭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올해 1분기 실적을 이끈 스마트폰 사업 담당 모바일경험(MX)사업부의 영업이익은 2조원 대로 1분기에 비해 절반 가량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연초 갤럭시S25 신제품 출시 효과과 수그러들고, 비수기에 접어든 영향으로 풀이된다.
TV와 가전 사업도 수요 감소에 관세 부담, 시장 경쟁 심화로 수익성이 악화한 것으로 추산된다.
한편 잠정 실적은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IFRS)에 의거해 추정한 결과이며, 아직 결산이 종료되지 않은 가운데 투자자들의 편의를 돕는 차원에서 제공되는 것이다.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