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군함도(端島·하시마)의 세계유산 등재 당시 이행 조치를 제대로 하고 있는지 점검하자는 한국 정부의 시도가 무산됐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7일(현지시각) 프랑스 파리에서 제47차 회의를 열고 ‘잠정 의제’로 올라온 일본의 메이지산업 유산 관련 ‘위원회 결정의 이행 상황에 대한 평가’ 안건의 정식 채택 여부를 논의했다.
한국 정부는 군함도의 세계유산 등재 이후 일본의 이행 조치가 미진하다며 이번 안건을 올렸다. 그러나 일본은 이번 사안이 위원회 회의보다는 한국과 일본 양자 사이 논의돼야 할 문제라고 보고 관련 안건이 삭제된 ‘수정안’을 제출했다.
한국은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며 표결을 요청했는데 최종 투표 결과 일본의 주장이 채택됐다.
위원국 21곳을 대상으로 진행된 비밀투표에서 일본의 수정안이 찬성 7표, 반대 3표로 가결됐다. 일부 위원국은 기권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한국과 일본 사이 우호적 흐름에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일본은 2015년 7월 군함도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면서 조선인의 강제동원 역사를 알리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이후 후속조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한일 양국 사이 갈등 요소로 작용했다. 장상유 기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7일(현지시각) 프랑스 파리에서 제47차 회의를 열고 ‘잠정 의제’로 올라온 일본의 메이지산업 유산 관련 ‘위원회 결정의 이행 상황에 대한 평가’ 안건의 정식 채택 여부를 논의했다.

▲ 일본 나가사키현 하시마(군함도) 인근 해상에서 바라 본 군함도. <연합뉴스>
한국 정부는 군함도의 세계유산 등재 이후 일본의 이행 조치가 미진하다며 이번 안건을 올렸다. 그러나 일본은 이번 사안이 위원회 회의보다는 한국과 일본 양자 사이 논의돼야 할 문제라고 보고 관련 안건이 삭제된 ‘수정안’을 제출했다.
한국은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며 표결을 요청했는데 최종 투표 결과 일본의 주장이 채택됐다.
위원국 21곳을 대상으로 진행된 비밀투표에서 일본의 수정안이 찬성 7표, 반대 3표로 가결됐다. 일부 위원국은 기권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한국과 일본 사이 우호적 흐름에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일본은 2015년 7월 군함도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면서 조선인의 강제동원 역사를 알리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이후 후속조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한일 양국 사이 갈등 요소로 작용했다.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