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용인 첨단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 국가산업단지 조성공사 1공구 입찰에 애초에 경쟁이 불가능한 기준을 내놓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2024년 시공능력평가 2위인 현대건설이 꾸린 컨소시엄만 공사실적에서 입찰 기준을 유일하게 채우면서 경쟁이 이뤄지지 않아 입찰이 성립하지 않아서다.
LH는 1공고 입찰 이후 올해 하반기 발주가 계획된 2공구 입찰에서는 어떤 새 기준을 마련할 지를 놓고 고심할 것으로 보인다.
23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LH가 재입찰을 진행하고 있는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1공구 조성공사가 또다시 유찰될 수 있다고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1공구 조성공사는 494만㎡ 부지에 토공, 관로공, 배수지, 옹벽 등 기반시설을 조성하는 사업으로 총 사업비는 약 1조4천억 원 규모이다.
부지 조성공사는 2026년 착공, 2031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준공되면 삼성전자가 360조 원을 투자해 6기 반도체 팹을 순차적으로 건설한다는 계획이 잡혀있다.
LH는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1공구 조성공사 첫 입찰에서 '최근 10년 간 단지조성공사와 동일한 종류의 공사실적'을 평가기준으로 삼았는데 이번 재입찰에서도 해당 기준을 동일하게 내걸었다.
LH 내부 입찰참가자격 사전심사 기준에 따르면 부지조성공사에 관한 기준은 면적 또는 금액 가운데 선택해 350% 이상의 공사실적을 충족하면 만점을 받을 수 있다.
LH는 이번 사업에서는 1,2차 입찰 공고에서 해당 기준을 금액으로 두면서 만점 기준을 금액 대비 350%에서 100% 이상으로 낮췄다. 공사비가 1조4천억 원으로 규모가 커 금액 대비로 하면서도 기준 비율을 낮춘 것이다.
하지만 건설업계에선 거센 반발이 일었다. 면적 기준으로 하면 기준을 채우는 건설사가 여럿 나와 입찰이 성립할 수 있었는데 금액을 기준으로 삼으면서 무산됐다는 게 반발의 요지다.
이에 LH는 해명자료를 내고 "입찰 기준은 초대형 고난도 특성을 반영한 기준으로 관계법령, 계약 지침에 따라 적법하게 집행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1공구 조성공사가 진행될 부지 특성이 상대적으로 고난도 스킬이 필요하며 향후 30년 이상 공장이 가동된다는 점을 고려해 보다 엄격한 기준을 이번 재입찰에서 적용했다고 강조했다.
다만 건설업계에서는 면적이 아닌 1조 4천억 원이라는 막대한 금액의 평가기준을 만족하기가 어려워 사실상 현대건설 컨소시엄에 수의계약 특혜를 주기 위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까지 제기하고 있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반도체 공장도 아니고 공장이 들어설 부지조성공사가 특별히 고난도를 요구하는 사업은 아니다"고 비판했다.
1공구 입찰 접수 마감은 오는 6월10일이다. 공사 실적 기준이 변하지 않은 만큼 입찰이 성립하지 않는다면 LH로서는 1공구뿐 아니라 연내 이뤄질 2공구 발주에 적용할 입찰 기준 마련에 고민이 커질 수밖에 없다.
LH가 입찰 기준에서 비판을 받고 있는 상황 가운데 2공구에서는 어떤 기준을 내걸지 주목된다.
2공구 조성공사 사업비는 약 1조 1천억 원 규모이다. 1조4천억 원 규모의 1공구 보다는 작지만 조 단위 사업이어서 건설사들의 관심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2공구는 1공구와 지리적으로 가깝고 반도체 공장이 들어선다는 유사성을 가지고 있기에 '최근 10년 간 단지조성공사와 동일한 종류의 공사실적' 평가기준이 다시 적용될 공산이 크다.
LH가 면적이 아닌 금액 기준을 유지한다면 입찰 기준을 만족하는 건설사가 많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이 건설업계에서 나온다.
이에 LH는 해당 평가기준에서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해서는 많은 공사실적을 가지고 있는 건설사끼리 컨소시엄을 꾸리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1공구 1차 입찰에서 현대건설 컨소시엄에는 대형건설사인 GS건설이 함께 포함돼 유일하게 기준을 충족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대우건설 컨소시엄은 중소 건설사와 팀을 꾸렸다.
LH는 “2공구 입찰 조건은 향후 1공구 재입찰 결과를 보고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인애 기자
2024년 시공능력평가 2위인 현대건설이 꾸린 컨소시엄만 공사실적에서 입찰 기준을 유일하게 채우면서 경쟁이 이뤄지지 않아 입찰이 성립하지 않아서다.

▲ LH는 올해 9월 발주가 계획된 2공구 입찰에서는 어떤 기준을 내걸지 주목된다. <연합뉴스>
LH는 1공고 입찰 이후 올해 하반기 발주가 계획된 2공구 입찰에서는 어떤 새 기준을 마련할 지를 놓고 고심할 것으로 보인다.
23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LH가 재입찰을 진행하고 있는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1공구 조성공사가 또다시 유찰될 수 있다고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1공구 조성공사는 494만㎡ 부지에 토공, 관로공, 배수지, 옹벽 등 기반시설을 조성하는 사업으로 총 사업비는 약 1조4천억 원 규모이다.
부지 조성공사는 2026년 착공, 2031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준공되면 삼성전자가 360조 원을 투자해 6기 반도체 팹을 순차적으로 건설한다는 계획이 잡혀있다.
LH는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1공구 조성공사 첫 입찰에서 '최근 10년 간 단지조성공사와 동일한 종류의 공사실적'을 평가기준으로 삼았는데 이번 재입찰에서도 해당 기준을 동일하게 내걸었다.
LH 내부 입찰참가자격 사전심사 기준에 따르면 부지조성공사에 관한 기준은 면적 또는 금액 가운데 선택해 350% 이상의 공사실적을 충족하면 만점을 받을 수 있다.
LH는 이번 사업에서는 1,2차 입찰 공고에서 해당 기준을 금액으로 두면서 만점 기준을 금액 대비 350%에서 100% 이상으로 낮췄다. 공사비가 1조4천억 원으로 규모가 커 금액 대비로 하면서도 기준 비율을 낮춘 것이다.
하지만 건설업계에선 거센 반발이 일었다. 면적 기준으로 하면 기준을 채우는 건설사가 여럿 나와 입찰이 성립할 수 있었는데 금액을 기준으로 삼으면서 무산됐다는 게 반발의 요지다.
이에 LH는 해명자료를 내고 "입찰 기준은 초대형 고난도 특성을 반영한 기준으로 관계법령, 계약 지침에 따라 적법하게 집행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1공구 조성공사가 진행될 부지 특성이 상대적으로 고난도 스킬이 필요하며 향후 30년 이상 공장이 가동된다는 점을 고려해 보다 엄격한 기준을 이번 재입찰에서 적용했다고 강조했다.
다만 건설업계에서는 면적이 아닌 1조 4천억 원이라는 막대한 금액의 평가기준을 만족하기가 어려워 사실상 현대건설 컨소시엄에 수의계약 특혜를 주기 위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까지 제기하고 있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반도체 공장도 아니고 공장이 들어설 부지조성공사가 특별히 고난도를 요구하는 사업은 아니다"고 비판했다.

▲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조감도. <국토교통부>
1공구 입찰 접수 마감은 오는 6월10일이다. 공사 실적 기준이 변하지 않은 만큼 입찰이 성립하지 않는다면 LH로서는 1공구뿐 아니라 연내 이뤄질 2공구 발주에 적용할 입찰 기준 마련에 고민이 커질 수밖에 없다.
LH가 입찰 기준에서 비판을 받고 있는 상황 가운데 2공구에서는 어떤 기준을 내걸지 주목된다.
2공구 조성공사 사업비는 약 1조 1천억 원 규모이다. 1조4천억 원 규모의 1공구 보다는 작지만 조 단위 사업이어서 건설사들의 관심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2공구는 1공구와 지리적으로 가깝고 반도체 공장이 들어선다는 유사성을 가지고 있기에 '최근 10년 간 단지조성공사와 동일한 종류의 공사실적' 평가기준이 다시 적용될 공산이 크다.
LH가 면적이 아닌 금액 기준을 유지한다면 입찰 기준을 만족하는 건설사가 많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이 건설업계에서 나온다.
이에 LH는 해당 평가기준에서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해서는 많은 공사실적을 가지고 있는 건설사끼리 컨소시엄을 꾸리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1공구 1차 입찰에서 현대건설 컨소시엄에는 대형건설사인 GS건설이 함께 포함돼 유일하게 기준을 충족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대우건설 컨소시엄은 중소 건설사와 팀을 꾸렸다.
LH는 “2공구 입찰 조건은 향후 1공구 재입찰 결과를 보고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인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