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현대제철 노조가 총파업을 보류하고 사측과 다시 임금 협상을 진행한다.
현대제철 금속노조 철강분과위원회 투쟁본부는 7일 “사측과 교섭 요청을 다각적으로 검토한 결과 교섭에 집중하고 예정된 총파업을 유보한다”고 말했다.
노조는 8일 총파업에 돌입할 예정이었지만 사측의 임단협 교섭 재개 요청에 따라 총파업 보류를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사는 9일 다시 협상에 돌입한다.
현대제철 노사는 지난해 8월부터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교섭을 이어왔지만 성과급 문제 등에서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
특히 지난 3월13일 협상에서 현대제철 측이 통상급 450%와 1천만 원을 제시한 후 협상 타결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따라 9일 진행되는 협상의 핵심 안건도 성과급 규모가 될 것으로 분석된다.
노조 측은 현대제철의 영업이익인 7983억 원 기준으로 성과급을 책정하길 원하고 있다. 사측은 경영상황이 악화한다고 설명하며 성과급 축소를 요구하고 있다.
현대제철은 지난 3월 비상경영체제로 전환했다. 이후 미국 공장 투자와 포항 2공장 투자를 축소했고 인천 철근 공장 운영을 한 달 동안 중단했다. 김호현 기자
현대제철 금속노조 철강분과위원회 투쟁본부는 7일 “사측과 교섭 요청을 다각적으로 검토한 결과 교섭에 집중하고 예정된 총파업을 유보한다”고 말했다.

▲ 현대제철 노조가 8일로 예정됐던 총파업을 보류하고 사측과 9일 협상에 나선다. <연합뉴스TV>
노조는 8일 총파업에 돌입할 예정이었지만 사측의 임단협 교섭 재개 요청에 따라 총파업 보류를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사는 9일 다시 협상에 돌입한다.
현대제철 노사는 지난해 8월부터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교섭을 이어왔지만 성과급 문제 등에서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
특히 지난 3월13일 협상에서 현대제철 측이 통상급 450%와 1천만 원을 제시한 후 협상 타결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따라 9일 진행되는 협상의 핵심 안건도 성과급 규모가 될 것으로 분석된다.
노조 측은 현대제철의 영업이익인 7983억 원 기준으로 성과급을 책정하길 원하고 있다. 사측은 경영상황이 악화한다고 설명하며 성과급 축소를 요구하고 있다.
현대제철은 지난 3월 비상경영체제로 전환했다. 이후 미국 공장 투자와 포항 2공장 투자를 축소했고 인천 철근 공장 운영을 한 달 동안 중단했다. 김호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