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배터리·전기차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는 지난해 등록된 세계 수소연료전지차(FCEV) 판매량이 1만2866대로 2023년보다 21.6% 감소했다고 11일 밝혔다.
현대자동차는 넥쏘와 일렉시티를 주축으로 모두 3836대를 판매했다. 2023년보다 23.5% 감소했지만 1위 자리를 지켰다. 시장 점유율은 0.7%포인트 감소한 29.8%를 기록했다.
국내 시장에서 넥쏘 판매량이 줄어들면서 현대차 수소차 판매량이 급격하게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현대차는 올해 넥쏘 후속모델을 출시할 예정이다.
2위인 도요타는 미라이와 크라운을 1917대 판매했다. 2023년보다 50.1% 감소한 수치다. 시장 점유율은 8.5%포인트 줄어든 14.9%를 기록했다.
국가별 점유율을 살펴보면 한국 시장에서 수소차는 지난해보다 20.4% 감소한 3588대가 팔렸다. 시장 점유율은 0.5%포인트 증가한 28.7%를 기록했다.
중국 시장에서는 수소차가 2023년보다 5.9% 줄어든 7113대가 판매됐다. 시장 점유율은 9.2%포인트 증가한 55.3%를 기록하며 1위를 기록했다. 유럽 시장이 5.7%로 3위, 일본 시장이 5.3%로 4위를 차지했다.
미국 시장 점유율은 2023년보다 13.6%포인트 감소한 4.6%를 기록했다. 2023년보다 두 계단 하락한 5위에 그쳤다.
SNE리서치 측은 “수소차 시장은 2022년을 정점으로 성장 둔화가 계속되고 있다”며 “장기적으로 글로벌 수소차 시장 규모가 확대되기 위해서는 충전 인프라 확충, 상용차 시장 확대, 수소 생산비 절감 등 전략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윤인선 기자
현대자동차는 넥쏘와 일렉시티를 주축으로 모두 3836대를 판매했다. 2023년보다 23.5% 감소했지만 1위 자리를 지켰다. 시장 점유율은 0.7%포인트 감소한 29.8%를 기록했다.

▲ 현대자동차의 수소연료전지차(FCEV) '넥쏘'. <현대자동차>
국내 시장에서 넥쏘 판매량이 줄어들면서 현대차 수소차 판매량이 급격하게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현대차는 올해 넥쏘 후속모델을 출시할 예정이다.
2위인 도요타는 미라이와 크라운을 1917대 판매했다. 2023년보다 50.1% 감소한 수치다. 시장 점유율은 8.5%포인트 줄어든 14.9%를 기록했다.
국가별 점유율을 살펴보면 한국 시장에서 수소차는 지난해보다 20.4% 감소한 3588대가 팔렸다. 시장 점유율은 0.5%포인트 증가한 28.7%를 기록했다.
중국 시장에서는 수소차가 2023년보다 5.9% 줄어든 7113대가 판매됐다. 시장 점유율은 9.2%포인트 증가한 55.3%를 기록하며 1위를 기록했다. 유럽 시장이 5.7%로 3위, 일본 시장이 5.3%로 4위를 차지했다.
미국 시장 점유율은 2023년보다 13.6%포인트 감소한 4.6%를 기록했다. 2023년보다 두 계단 하락한 5위에 그쳤다.
SNE리서치 측은 “수소차 시장은 2022년을 정점으로 성장 둔화가 계속되고 있다”며 “장기적으로 글로벌 수소차 시장 규모가 확대되기 위해서는 충전 인프라 확충, 상용차 시장 확대, 수소 생산비 절감 등 전략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윤인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