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원/달러 환율이 유로와 엔, 위안화의 변동에 영향을 받아 움직일 것으로 전망됐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11일 “글로벌 외환시장의 이목은 달러 자체 변동 요인보다 유로, 엔, 그리고 위안화 변동 요인에 집중할 것이다”고 내다봤다.
 
하이투자 "원/달러 환율 엔화와 위안화 변동에 달려, 1300~1350원 오갈 것"

▲ 9월 셋째 주 원/달러 환율은 1300~1350원을 오갈 것으로 전망됐다. <연합뉴스>


유로화 환율은 14일 열리는 유럽중앙은행(ECB)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할지 여부와 회의 내용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됐다.

달러/유로 환율은 8일 종가 기준으로 1.07달러가 위협받는 약세 흐름을 이어가고 있는데 14일 ECB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한다면 유로화 약세 압력은 높아질 것으로 예측됐다.

달러/엔 환율도 일본 정부의 외환시장 구두 개입에도 불구하고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박 연구원은 “달러/엔 환율 150엔까지 일본 정부의 실제 시장 개입이 없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엔 약세를 부추기고 있다”고 분석했다.

위안화 추가 약세 여부에도 외환시장의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전망됐다.

달러/위안 환율은 9월 둘째 주에 심리적 마지노선인 7.3위안을 넘어서며 상승 흐름을 보였다.

박 연구원은 “중국 정부가 경기 둔화 리스크를 완화시키기 위해 위안 약세 정책을 선택한다면 아시아 주요 통화가치에도 적지 않은 파장을 유발할 수 있다”고 바라봤다.

9월 셋째 주 원/달러 환율은 1300~1350원을 오갈 것으로 전망됐다.

박 연구원은 “원화 강세를 이끌 호재가 없는 상황에서 일단 엔 및 위안 흐름이 달러/원 환율의 추가 상승폭을 결정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의 시장 개입이 지속되겠지만 상승 폭을 조절하는 수준에 그칠 공산이 높다”며 “달러/원 환율이 안정을 찾기 위해서는 엔 및 위안 가치 안정이 선행돼야 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