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LG유플러스가 새로운 클라우드서비스 솔루션을 선보이며 클라우드사업을 확대한다.
LG유플러스는 29일 하나의 회선으로 다양한 공개형 클라우드(퍼블릭 클라우드)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통합솔루션 'U+클라우드 멀티커넥트'를 출시한다고 22일 밝혔다.
LG유플러스는 최근 2개 이상의 공개형 클라우드를 이용하거나 폐쇄형 클라우드(프라이빗 클라우드)와 공개형 클라우드를 동시에 이용하는 기업고객이 늘고 있어 U+클라우드 멀티커넥트를 출시했다고 설명했다.
U+클라우드 멀티커넥트를 이용하면 별도의 네트워크 장비가 없어도 LG유플러스의 데이터센터(IDC)인 평촌메가센터에 연결된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 애저(MS Azure), 구글 클라우드(Google Cloud)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특히 평촌메가센터는 LG유플러스 뿐만 아니라 복수의 통신사업자와도 연결돼 있어 타사의 전용회선을 이용하는 기업고객들도 U+클라우드 멀티커넥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개별적으로 전용회선을 구축하고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업고객이 네트워크 회선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비용을 최대 30%까지 줄일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U+클라우드 멀티커넥트를 통해 클라우드에 연결된 네트워크 상태를 웹에서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포털서비스도 제공한다.
기업고객은 포털에서 다양한 클라우드 사업자들과 공개형 클라우드 사이 연결구간에 관한 회선상태와 트래픽을 관리할 수도 있다.
LG유플러스는 고객이 이용할 수 있는 공개형 클라우드 서비스를 지속해서 확대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구성철 LG유플러스 유선사업담당은 "클라우드 이용방식의 변화에 따른 고객의 니즈(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상품을 지속 출시하겠다"고 말했다. 최영찬 기자
LG유플러스는 29일 하나의 회선으로 다양한 공개형 클라우드(퍼블릭 클라우드)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통합솔루션 'U+클라우드 멀티커넥트'를 출시한다고 22일 밝혔다.

▲ LG유플러스는 29일 하나의 회선으로 다양한 공개형 클라우드(퍼블릭 클라우드)를 이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통합솔루션 'U+클라우드 멀티커넥트'를 출시한다고 22일 밝혔다. < LG유플러스 >
LG유플러스는 최근 2개 이상의 공개형 클라우드를 이용하거나 폐쇄형 클라우드(프라이빗 클라우드)와 공개형 클라우드를 동시에 이용하는 기업고객이 늘고 있어 U+클라우드 멀티커넥트를 출시했다고 설명했다.
U+클라우드 멀티커넥트를 이용하면 별도의 네트워크 장비가 없어도 LG유플러스의 데이터센터(IDC)인 평촌메가센터에 연결된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 애저(MS Azure), 구글 클라우드(Google Cloud)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특히 평촌메가센터는 LG유플러스 뿐만 아니라 복수의 통신사업자와도 연결돼 있어 타사의 전용회선을 이용하는 기업고객들도 U+클라우드 멀티커넥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개별적으로 전용회선을 구축하고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업고객이 네트워크 회선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비용을 최대 30%까지 줄일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U+클라우드 멀티커넥트를 통해 클라우드에 연결된 네트워크 상태를 웹에서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포털서비스도 제공한다.
기업고객은 포털에서 다양한 클라우드 사업자들과 공개형 클라우드 사이 연결구간에 관한 회선상태와 트래픽을 관리할 수도 있다.
LG유플러스는 고객이 이용할 수 있는 공개형 클라우드 서비스를 지속해서 확대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구성철 LG유플러스 유선사업담당은 "클라우드 이용방식의 변화에 따른 고객의 니즈(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상품을 지속 출시하겠다"고 말했다. 최영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