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솔게임기용 게임을 제작하는 게임기업이 늘어나고 있다.
넥스트플로어와 조이시티, 로이게임즈 등 규모를 갖춘 게임회사도 콘솔게임사업을 본격화할 준비를 하고 있다.
콘솔게임은 그동안 국내에서 ‘찬밥신세’를 면치 못했는데 성장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변화가 생겨나고 있다.
◆ 넥스트플로어 조이시티 로이게임즈, 콘솔게임 신작준비
21일 업계에 따르면 콘솔게임을 제작하고 있는 국내 기업은 줄잡아 25곳 가량이다. 대부분 기업이 소니의 ‘플레이스테이션’용 게임을 만들고 있다.
![]() |
||
▲ 넥스트플로어의 콘솔게임 '키도:라이드온타임'. |
넥스트플로어와 조이시티, 로이게임즈 등 어느 정도 규모를 갖춘 중견 게임사도 이 사업에 나설 채비를 하고 있다는 점도 과거와 비교해 달라진 점이다.
넥스트플로어는 지난해 자체개발한 플레이스테이션4 게임 ‘키도:라이드온타임’을 이르면 올해 안에 정식으로 출시한다.
키도는 지난해 넥스트플로어가 ‘지스타2015’에서 선보여 많은 관람객의 관심을 끌어냈던 작품으로 게임개발 독립연구소인 ‘지하연구소’가 제작을 담당했다.
넥스트플로어의 한 관계자는 “키도의 개발은 어느 정도 시험적인 성격도 반영됐다”며 “소니컴퓨터엔터테인먼트코리아와 협력해 게임의 정식출시를 준비하게 됐다”고 말했다.
조이시티도 대표 지적재산권(IP)인 ‘프리스타일’을 활용한 콘솔게임 ‘3on3 프리스타일’을 조만간 출시한다. 조이시티는 3월 초 이 게임의 영상과 사진 등을 담은 예고페이지를 공개했다.
로이게임즈 역시 ‘화이트데이’의 적용 범위를 콘솔게임기로 확장할 준비를 하고 있다. 화이트데이는 2000년대 초반부터 국내를 대표하는 호러게임으로 지위를 굳힌 뒤 PC와 모바일게임시장에서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로이게임즈는 화이트데이를 단순한 콘솔게임으로 내놓는 데서 한 발 더 나아가 가상현실(VR)기기와 연동되도록 만든다는 방침을 세웠다.
◆ 콘솔게임 매력이 뭐길래
콘솔게임은 한국에서 한때 찬밥신세였다. 게임을 즐기는 사람이 거의 적은 데다 고객이 대부분 해외 유명게임만 즐겼기 때문이다.
![]() |
||
▲ 조이시티가 플레이스테이션4 콘솔게임으로 개발하고 있는 '3on3 프리스타일'. |
콘솔게임기는 과거 ‘10대들의 오락기’ 취급을 받았으나 최근 들어 성인에게 폭넓게 보급되고 있다. 최근 플레이스테이션4와 엑스박스원의 고객층은 40대까지 확대되고 있다.
GTA나 파이널판타지, 헤일로 등 콘솔게임기용으로 개발된 해외게임의 큰 성공에 국내 기업이 자극받았을 것이라는 말도 나온다.
미국 락스타게임즈가 서비스하고 있는 GTA5의 경우 발매 첫 날에만 8억 달러의 수입을 올리며 세계 게임역사를 새로 썼을 정도다.
기업 입장에서도 콘솔게임을 개발해 발매하는 것이 비용 면에서 큰 부담이 아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콘솔게임은 특성상 완성도를 높이는 데만 부담이 들지 한 번 완성해 발매하면 사후 비용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며 “반면 PC온라인게임이나 모바일게임의 경우 발매 이후에도 버그 수정과 업데이트 등으로 나가는 비용부담이 만만치 않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매출을 다변화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콘솔게임이 매력적일 수 있다”며 “글로벌의 경우 콘솔게임시장규모가 커 개발작이 흥행에만 성공하면 한국에서 모바일게임이나 PC온라인게임으로 내는 몇 배의 수익을 얻을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서정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