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경기도지사가 부동산 투기를 막기 위해 장기 공공임대주택을 늘려야 한다고 정부에 요청했다.

이 지사는 8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글을 올리고 “부동산 안정화의 해답은 소유자가 실제로 살지 않는 비거주 주택의 강력한 규제와 공공임대주택 확대뿐이다”라고 말했다. 
 
이재명 "장기 공공임대주택 확충하고 토지거래 허가제 확대해야"

이재명 경기도지사.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2일 기준으로 수도권 아파트가격은 지난주보다 0.15% 올라 최근 4개월여 만에 가장 큰 상승률을 나타냈다. 

최근 경기도 과천 아파트단지 3곳에서 1천 가구 규모의 동시분양 1순위 청약에 47만8천여 명이 몰리면서 최고 경쟁률이 1812대 1, 평균 경쟁률은 458대 1까지 치솟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이 지사는 “조선시대에 매점매석 행위가 성행하자 조정이 강하게 규제했는데 지금 대한민국에서 똑같은 일이 벌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부동산 투기가 무주택자를 깊은 고통의 나락으로 내몰고 있다”며 “대한민국의 부동산 투기와 불로소득 문제는 국민, 특히 젊은이의 출산과 결혼까지 포기하게 만들기 때문에 더욱 심각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값싸고 질 좋은 실주거용 주택을 공급하되 비거주 주택에는 불로소득이 불가능할 정도의 높은 세금을 부과하면서 금융 혜택을 없애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지사는 “중산층이 살 만한 좋은 위치에 품질 높은 공공임대주택이 공급된다면 굳이 빚을 내 비싼 집을 살 필요가 없으며 불필요한 투기나 공포 수요도 사라질 것”이라며 “싱가포르가 이미 증명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장기 공공임대주택의 예시로 문재인 대통령이 국회 시정연설에서 언급했던 ‘평생주택’과 경기도의 ‘기본주택’을 들었다. 기본주택은 무주택자가 30년 이상 살 수 있는 공공임대주택으로서 추진되고 있다.  

이 지사는 “경기도가 추진하는 기본주택 공급물량은 부동산시장의 안정과 수요 공급에는 못 미친다”며 “중산층도 평생 살 수 있는 임대주택 공급은 문 대통령의 뜻인 만큼 정부에 기본주택 확대를 적극 건의한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외국인과 법인 대상으로 토지거래 허가제를 도입하는 방안도 정부에 요청했다. 토지거래 허가제는 용도나 지역별로 일정 기준 이상의 토지를 거래할 때 사전에 그 지역의 지방자치단체장 허가를 받아야 하는 제도를 말한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올해 외국인과 법인의 수도권 건축물 거래는 8월 기준 8만2162건에 이른다. 외국인의 국내 아파트 거래금액도 5월 기준 1조2539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 지사는 “토지거래 허가제를 수도권 전체로 확대하는 방안 또한 정부의 검토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비정상적 시장을 극복할 해법을 찾았다면 때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