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로공사가 한국판 뉴딜정책에 발맞춰 고속도로 주요 거점에 수소충전소 수를 늘리는 데 힘쓰고 있지만 초기 사업성이 낮아 민간사업자를 모으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7일 도로공사에 따르면 2020년 초부터 현재까지 국토교통부와 도로공사의 국비 지원을 받으면서 건설을 시작한 고속도로 수소충전소 수는 단 2기에 머무르고 있다.
국토부와 도로공사는 2020년 한 해 동안 신규 고속도로 수소충전소 15기를 착공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지만 2020년이 4개월 정도 남은 점을 고려하면 목표치를 채우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도로공사는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방침에 따라 고속도로 주요 거점에 수소충전소를 짓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사업은 한국판 뉴딜에 따른 공공기관 주도 프로젝트에도 들어갔다.
도로공사는 일부 수소충전소를 직접 짓고 운영할 계획도 세우며 아울러 수소충전소 구축에 필요한 부지를 일정 기간 무상으로 빌려주는 사업도 진행한다.
부지 임대방식은 두 가지 유형으로 운영된다.
첫 번째는 지방자치단체와 협업하면서 수소충전소 1기당 15억 원을 지원하는 방식이 있다. 두 번째는 민간사업자의 자유제안 형식인데 수소충전소 1기당 10억 원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2022년까지 수소충전소 60곳을 세우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하지만 2020년 현재 상황을 보면 2021년 13기를 신규 착공하겠다는 목표 달성 여부도 불확실해 보인다.
도로공사 관계자는 “지방자치단체와 협의 과정에 시간이 상당히 들어가는 데다 코로나19 확산의 영향도 있어 신규 수소충전소의 착공이 늦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수소업계에서는 수소충전소 구축과 운영에 들어가는 높은 비용에 따른 사업성 문제도 신규 수소충전소의 착공이 늦어지는 이유로 꼽고 있다.
수소충전소 1기를 세우는 데는 25억~30억 원 정도가 들어간다. 완공된 수소충전소를 운영하는 데도 연간 2억~3억 원 규모의 비용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된다.
수소차 보급률이 아직 낮은 점을 고려하면 사업 초기에는 손실을 피하기 힘든 셈이다. 이 때문에 민간사업자가 수소충전소 운영에 뛰어들 요인이 적다는 지적이 나온다.
도로공사가 강릉시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수소충전소를 운영할 민간사업자를 공개모집했지만 두 차례 연속으로 참여자가 나타나지 않은 사례 등도 나왔다.
이에 대응해 국토부가 민간사업자의 자유제안에 따른 수소충전소 설치비용의 국비지원 금액을 1기당 7억5천만 원에서 10억 원으로 높였지만 운영비 문제가 계속 제기되고 있다.
도로공사가 민간사업자의 시장 진입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지원금액을 늘리거나 직접 운영하는 수소충전소 수를 늘려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지만 예산 문제가 발목을 잡는다.
국회 예산정책처가 2020년 국토교통위원회 예산안을 놓고 “민간사업자와 협의가 원활하지 않으면 추가 국비가 들어가거나 한국도로공사의 부담이 무거워질 수 있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김재경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현재로서는 정부 차원에서 수소충전소 운영비를 지원해 민간사업자의 시장 진입을 유도해야 인프라 구축속도도 빨라질 것”이라며 “직접적 비용 지원이 힘들다면 다른 간접 지원책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
7일 도로공사에 따르면 2020년 초부터 현재까지 국토교통부와 도로공사의 국비 지원을 받으면서 건설을 시작한 고속도로 수소충전소 수는 단 2기에 머무르고 있다.
▲ 한국도로공사 언양휴게소(서울 방향)에 설치된 수소충전소 전경. <한국도로공사>
국토부와 도로공사는 2020년 한 해 동안 신규 고속도로 수소충전소 15기를 착공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지만 2020년이 4개월 정도 남은 점을 고려하면 목표치를 채우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도로공사는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방침에 따라 고속도로 주요 거점에 수소충전소를 짓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사업은 한국판 뉴딜에 따른 공공기관 주도 프로젝트에도 들어갔다.
도로공사는 일부 수소충전소를 직접 짓고 운영할 계획도 세우며 아울러 수소충전소 구축에 필요한 부지를 일정 기간 무상으로 빌려주는 사업도 진행한다.
부지 임대방식은 두 가지 유형으로 운영된다.
첫 번째는 지방자치단체와 협업하면서 수소충전소 1기당 15억 원을 지원하는 방식이 있다. 두 번째는 민간사업자의 자유제안 형식인데 수소충전소 1기당 10억 원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2022년까지 수소충전소 60곳을 세우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하지만 2020년 현재 상황을 보면 2021년 13기를 신규 착공하겠다는 목표 달성 여부도 불확실해 보인다.
도로공사 관계자는 “지방자치단체와 협의 과정에 시간이 상당히 들어가는 데다 코로나19 확산의 영향도 있어 신규 수소충전소의 착공이 늦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수소업계에서는 수소충전소 구축과 운영에 들어가는 높은 비용에 따른 사업성 문제도 신규 수소충전소의 착공이 늦어지는 이유로 꼽고 있다.
수소충전소 1기를 세우는 데는 25억~30억 원 정도가 들어간다. 완공된 수소충전소를 운영하는 데도 연간 2억~3억 원 규모의 비용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된다.
수소차 보급률이 아직 낮은 점을 고려하면 사업 초기에는 손실을 피하기 힘든 셈이다. 이 때문에 민간사업자가 수소충전소 운영에 뛰어들 요인이 적다는 지적이 나온다.
도로공사가 강릉시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수소충전소를 운영할 민간사업자를 공개모집했지만 두 차례 연속으로 참여자가 나타나지 않은 사례 등도 나왔다.
이에 대응해 국토부가 민간사업자의 자유제안에 따른 수소충전소 설치비용의 국비지원 금액을 1기당 7억5천만 원에서 10억 원으로 높였지만 운영비 문제가 계속 제기되고 있다.
도로공사가 민간사업자의 시장 진입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지원금액을 늘리거나 직접 운영하는 수소충전소 수를 늘려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지만 예산 문제가 발목을 잡는다.
국회 예산정책처가 2020년 국토교통위원회 예산안을 놓고 “민간사업자와 협의가 원활하지 않으면 추가 국비가 들어가거나 한국도로공사의 부담이 무거워질 수 있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김재경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현재로서는 정부 차원에서 수소충전소 운영비를 지원해 민간사업자의 시장 진입을 유도해야 인프라 구축속도도 빨라질 것”이라며 “직접적 비용 지원이 힘들다면 다른 간접 지원책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