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년 1월8일 문재인 대통령(오른쪽)과 임종석 당시 청와대 비서실장이 국무회의에 함께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
문재인 대통령이 집권 후반기 안보라인 개편에서
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에게 어떤 형태로든 역할을 맡길 것으로 보인다.
임 전 실장이 맡을 역할을 놓고는 청와대 안보실장, 국정원장, 통일외교안보 특별보좌관 등 전망이 엇갈린다.
2일 정치권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청와대는 통일부 장관,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등 안보라인 인선을 놓고 검토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통일부 장관으로는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유력한 가운데 일부 언론은 임 전 실장이 안보실장에 추천됐다고 전했지만 청와대는 사실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있다.
문 대통령이 안보라인 개편에서 임 전 실장을 기용할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리는 이유는 냉랭해진 남북관계의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 만한 인물로 평가받기 때문이다.
임 전 실장을 기용하는 것 자체가 북한에 보내는 적극적 대화 신호일 수 있다는 것이다.
임 전 실장은 오랜 기간 북한 관련 활동을 이어 온데다 비서실장이던 2018년에는 4·27 판문점 남북정상회담, 9·19 평양 남북정상회담 등에서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장을 맡기도 했다. 정상회담 이후에는 남북정상합의 이행추진위원장을 맡았다.
문 대통령이 임 전 실장에게 맡길 역할을 놓고는 안보실장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진다.
무엇보다 국회의 인사청문회를 거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 임 전 실장의 안보실장 기용 전망에 힘을 싣는다.
임 전 실장이
문재인 정부 초대 비서실장에 임명됐을 때 보수언론을 중심으로 386 주사파의 핵심 인물이 청와대에 들어갔다는 비판 목소리가 나왔다.
원구성 협상 결렬 등으로 국회에서 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의 갈등 수위가 높은 상황이므로 인사청문회가 시작되면 임 전 실장을 향한 통합당의 파상 공세가 예상될 가능성이 크다. 청문회 절차를 거치는 데 최장 3개월까지 걸릴 수 있어 남북 관계 개선에 실기를 할 수도 있다.
다만 안보실장의 역할이 대북 문제를 훨씬 뛰어넘는다는 문 대통령에게 고민거리일 것으로 보인다.
안보실장은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장을 겸임하는 자리로 외교와 군사 문제와 관련해 전문성이 요구되는 자리다. 특히 미국과 정책 조율이 중요한 임무가운데 하나다. 임 전 실장의 이력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다.
미국 언론인 월스트리트저널은 2018년 4월 남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임 전 실장을 조명하며 임 전 실장이 학생운동을 하면서 반미, 친북적 태도를 보여 국회의원이 되고도 미국 비자를 발급받는데 어려움을 겪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그런 점에서 정치권에서는 문 대통령이 임 전 실장을 통일외교안보 특보나 대북특사 등의 역할을 맡길 수 있다는 말도 나온다.
임 전 실장도 남북관계에 집중하면서도 비교적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는 역할을 맡기 원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임 전 실장은 5월 ‘창작과 비평’과 인터뷰에서 거취를 놓고 “일반 제도정치에 몸담고 싶은 생각은 없다”며 “남북문제에 제도 정치에서의 역할이 있다면 솔직하게 설명드리고 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