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솔 주가가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5G통신이 확대되면서 2021년부터 5G통신 스마트폰용 체적탄성파(BAW) 필터 매출이 본격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박강호 대신증권 연구원은 5일 와이솔 목표주가를 1만8천 원,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각각 유지했다.
4일 와이솔 주가는 1만2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박 연구원은 “하반기에 삼성전자와 중국 스마트폰업체가 5G폰으로 새 모델을 출시하면서 와이솔의 표면탄성파(SAW) 필터 및 필터모듈 매출이 늘어날 것”이라며 “특히 5G폰에 적용되는 체적탄성파 필터가 4분기부터 생산이 시작돼 2021년부터 매출이 본격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와이솔은 2021년에 매출 3987억 원, 영업이익 463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추정치보다 매출은 19.2%, 영업이익은 99.3% 늘어나는 것이다.
글로벌에서 자율주행 적용 및 전기자동차 생산 확대로 5G 관련한 통신모듈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도 와이솔의 성장요인으로 꼽혔다.
모회사인 대덕과 시너지효과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와이솔은 2017년에 대덕에 인수됐다.
박 연구원은 “대덕에 인수된 뒤 2019년 3자배정 유상증자로 재무구조를 개선한 만큼 계열사인 대덕전자와 시너지효과가 3분기부터 나타날 것”이라며 “대덕이 PA(전력증폭기) 사업을 검토하고 있는 만큼 와이솔 사업 포트폴리오에 추가로 반영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
5G통신이 확대되면서 2021년부터 5G통신 스마트폰용 체적탄성파(BAW) 필터 매출이 본격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 김지호 와이솔 대표이사.
박강호 대신증권 연구원은 5일 와이솔 목표주가를 1만8천 원,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각각 유지했다.
4일 와이솔 주가는 1만2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박 연구원은 “하반기에 삼성전자와 중국 스마트폰업체가 5G폰으로 새 모델을 출시하면서 와이솔의 표면탄성파(SAW) 필터 및 필터모듈 매출이 늘어날 것”이라며 “특히 5G폰에 적용되는 체적탄성파 필터가 4분기부터 생산이 시작돼 2021년부터 매출이 본격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와이솔은 2021년에 매출 3987억 원, 영업이익 463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추정치보다 매출은 19.2%, 영업이익은 99.3% 늘어나는 것이다.
글로벌에서 자율주행 적용 및 전기자동차 생산 확대로 5G 관련한 통신모듈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도 와이솔의 성장요인으로 꼽혔다.
모회사인 대덕과 시너지효과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와이솔은 2017년에 대덕에 인수됐다.
박 연구원은 “대덕에 인수된 뒤 2019년 3자배정 유상증자로 재무구조를 개선한 만큼 계열사인 대덕전자와 시너지효과가 3분기부터 나타날 것”이라며 “대덕이 PA(전력증폭기) 사업을 검토하고 있는 만큼 와이솔 사업 포트폴리오에 추가로 반영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