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역량을 보유한 SK커뮤니케이션즈를 인수해 SK텔레콤과 사업 시너지를 창출하겠다.”

SK텔레콤은 SK커뮤니케이션즈 인수를 전격 결정하면서 이렇게 밝혔다.

그러나 SK텔레콤이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SK커뮤니케이션즈를 인수할 수밖에 없는 또 다른 속사정이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된다.

  SK텔레콤, SK커뮤니케이션즈 인수한 진짜 속내는?  
▲ 장동현 SK텔레콤 사장.
25일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이 SK커뮤니케이션즈 인수에 나선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SK커뮤니케이션즈는 애초 종합 엔터테인먼트기업인 IHQ에 인수될 예정이었다. 

IHQ와 SK커뮤니케이션즈의 모회사인 SK플래닛이 지난달 26일 SK플래닛이 보유한 SK커뮤니케이션즈의 지분 51%를 IHQ의 신주 28.5%와 교환하기로 합의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24일 IHQ가 SK커뮤니케이션즈 인수에 대해 채권단의 동의를 얻는데 실패하면서 이 계획은 무산됐다.

SK텔레콤과 SK플래닛은 IHQ에 매각하려던 계획이 불발되자 발빠르게 대응했다.

SK텔레콤은 24일 임시 이사회를 열어 SK플래닛이 보유하고 있는 SK커뮤니케이션즈 지분(64.5%) 전량을 오는 10월1일 매입하기로 결정했다.

SK플래닛도 이날 임시 이사회를 열어 이 안건을 승인했다.

SK텔레콤은 "SK커뮤니케이션즈가 유무선 인터넷분야에서 축적해 온 콘텐츠 사업역량이 SK텔레콤이 추진하고 있는 차세대 플랫폼사업과 부합한다"며 “SK커뮤니케이션즈를 인수해 두 회사의 사업 시너지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SK텔레콤이 밝힌 인수배경을 놓고 의문이 제기된다.

SK텔레콤의 주장대로라면 SK커뮤니케이션즈는 애초 기업가치가 높아야 한다.

그러나 모회사인 SK플래닛은 IHQ에 SK커뮤니케이션즈를 넘기기로 했고 SK그룹의 계열사들은 이 과정을 지켜보기만 했다.

이 때문에 SK텔레콤이 SK커뮤니케이션즈를 급하게 인수하기로 결정한 속사정이 따로 있는 것 아니냐는 의견이 나온다. 

SK텔레콤이 SK커뮤니케이션즈를 인수해 사업적 시너지를 창출하겠다고 한 것은 단지 명분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SK그룹이 안고 있는 고질적 지배구조 문제가 이런 해프닝을 낳은 것으로 해석한다.

SK커뮤니케이션즈는 SK그룹에서 지주회사 역할을 하는 SK의 증손자회사다. SK-SK텔레콤(자회사)-SK플래닛(손자회사)-SK커뮤니케이션즈(증손자회사)로 이어지는 복잡한 지배구조 최하단에 위치해 있다.

그런데 공정거래법상 SK커뮤니케이션즈의 모회사인 SK플래닛은 지주회사 SK의 증손자회사인 SK커뮤니케이션즈의 지분 전량을 10월 말까지 인수하거나 혹은 매각하도록 돼 있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 SK커뮤니케이션즈의 매각설이 기정사실처럼 받아들여져 왔다.

SK커뮤니케이션즈가 15분기 연속 적자에 시달릴 정도로 사업부이 부진한 데다 SK플래닛이 모바일사업에서 성과를 내고 있어 SK커뮤니케이션즈를 굳이 안고 갈 이유가 없었다.

IHQ의 SK커뮤니케이션즈 인수가 불발되면서 발등에 불이 떨어진 SK그룹이 SK텔레콤을 통해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SK커뮤니케이션즈를 다시 품기로 한 것이라는 해석도 이 때문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종종 트레이드 불발사고가 일어나는 프로스포츠 세계에서나 볼 수 있는 일”이라며 “SK텔레콤이 내 건 인수명분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에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서정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