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3기 신도시의 자족기능을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힘쓴다.
경기도는 6일 ‘미래 자족형 3기 신도시 조성을 위한 태스크포스’를 구성했다고 7일 밝혔다.
태스크포스는 경기도 21개 부서와 경기도교육청, 경기도시공사, 한국주택토지공사(LH) 등으로 구성됐다.
경기도는 이번 태스크포스 구성을 통해 정부의 3기 신도시정책 사업시행자로서의 주도적으로 계획을 수립하고 ‘중앙-지방-시행자’를 아우르는 통합 소통채널 창구역할을 할 계획을 세웠다.
태스크포스는 6일 첫 회의를 열어 자족기능 강화방안의 모델로 판교테크노밸리 조성현황 등을 공유했다. 개인형 이동수단 활성화와 친환경 수소·전기 충전인프라 마련 등 미래 신교통수단 구축방안을 논의했다.
철도 및 간선급행버스(BRT), 버스 등 광역교통수단의 적정 공급을 위해 중앙 정부와 최대한 협력하기로 했다.
100만m²이상의 대규모 택지 7곳을 대상으로 분야별, 지구별, 기관별 주제에 따라 상시 운영하고 기초 지방자치단체의 의견도 최대한 수용해 논의하기로 했다.
이날 선정된 과제는 교통, 자족, 계획 ,시행, 행정지원, 특화 등 16여 개에 이른다. 추후 논의를 거쳐 실행과제를 구체화하고 특화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3기 신도시 가운데 경기도에는 24만 호가 공급된다. 경기도는 남양주 왕숙1·왕숙2, 하남 교산, 과천 등 4개 지구, 10만500호 건설사업에 공동 사업시행자로 행정 지원을 맡았다.
하남 교산, 과천 등 2곳은 경기도시공사도 함께 참여한다.
경기도 관계자는 “1기와 2기 신도시의 문제점을 보완해 3기 신도시가 주택 공급 뿐만 아니라 자족기능이 강화된 도시가 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남형 기자]
경기도는 6일 ‘미래 자족형 3기 신도시 조성을 위한 태스크포스’를 구성했다고 7일 밝혔다.

▲ '미래 자족형 3기 신도시 조성을 위한 태스크포스'가 6일 경기도청에서 첫 회의를 열고 3기 신도기의 자족기능을 강화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경기도>
태스크포스는 경기도 21개 부서와 경기도교육청, 경기도시공사, 한국주택토지공사(LH) 등으로 구성됐다.
경기도는 이번 태스크포스 구성을 통해 정부의 3기 신도시정책 사업시행자로서의 주도적으로 계획을 수립하고 ‘중앙-지방-시행자’를 아우르는 통합 소통채널 창구역할을 할 계획을 세웠다.
태스크포스는 6일 첫 회의를 열어 자족기능 강화방안의 모델로 판교테크노밸리 조성현황 등을 공유했다. 개인형 이동수단 활성화와 친환경 수소·전기 충전인프라 마련 등 미래 신교통수단 구축방안을 논의했다.
철도 및 간선급행버스(BRT), 버스 등 광역교통수단의 적정 공급을 위해 중앙 정부와 최대한 협력하기로 했다.
100만m²이상의 대규모 택지 7곳을 대상으로 분야별, 지구별, 기관별 주제에 따라 상시 운영하고 기초 지방자치단체의 의견도 최대한 수용해 논의하기로 했다.
이날 선정된 과제는 교통, 자족, 계획 ,시행, 행정지원, 특화 등 16여 개에 이른다. 추후 논의를 거쳐 실행과제를 구체화하고 특화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3기 신도시 가운데 경기도에는 24만 호가 공급된다. 경기도는 남양주 왕숙1·왕숙2, 하남 교산, 과천 등 4개 지구, 10만500호 건설사업에 공동 사업시행자로 행정 지원을 맡았다.
하남 교산, 과천 등 2곳은 경기도시공사도 함께 참여한다.
경기도 관계자는 “1기와 2기 신도시의 문제점을 보완해 3기 신도시가 주택 공급 뿐만 아니라 자족기능이 강화된 도시가 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남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