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중공업이 액체화물운반선 1척을 수주했다고 해외언론이 보도했다.
19일 조선해운 전문매체 트레이드윈즈에 따르면 일본 무역회사 미쓰이앤코(Mitsu&Co)는 최근 삼성중공업에 MR탱커(순수화물적재량 5만 DWT 안팎의 액체화물운반선) 1척을 발주했다.
삼성중공업이 이번에 수주한 선박은 국제해사기구의 질소산화물 배출기준에서 가장 높은 등급인 티어3(Tier3) 기준을 만족하는 사양이다.
선박의 건조가격은 알려지지 않았으며 인도기한은 2021년 초다.
트레이드윈즈는 삼성중공업이 2018년 미쓰이앤코로부터 MR탱커 5척을 수주했을 때 선박 건조가격이 1척당 3500만~3600만 달러(423억~436억 원가량)였다는 점을 들어 이번에 수주한 선박의 건조가격도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추정했다.
이 매체는 “MR탱커는 삼성중공업이 주력으로 건조하는 선박 종류는 아니다”며 “삼성중공업은 대형 선박과 중소형 선박을 동시에 건조하며 도크를 최적화하려는 것”이라고 파악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용규 기자]
19일 조선해운 전문매체 트레이드윈즈에 따르면 일본 무역회사 미쓰이앤코(Mitsu&Co)는 최근 삼성중공업에 MR탱커(순수화물적재량 5만 DWT 안팎의 액체화물운반선) 1척을 발주했다.

▲ MR탱커.
삼성중공업이 이번에 수주한 선박은 국제해사기구의 질소산화물 배출기준에서 가장 높은 등급인 티어3(Tier3) 기준을 만족하는 사양이다.
선박의 건조가격은 알려지지 않았으며 인도기한은 2021년 초다.
트레이드윈즈는 삼성중공업이 2018년 미쓰이앤코로부터 MR탱커 5척을 수주했을 때 선박 건조가격이 1척당 3500만~3600만 달러(423억~436억 원가량)였다는 점을 들어 이번에 수주한 선박의 건조가격도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추정했다.
이 매체는 “MR탱커는 삼성중공업이 주력으로 건조하는 선박 종류는 아니다”며 “삼성중공업은 대형 선박과 중소형 선박을 동시에 건조하며 도크를 최적화하려는 것”이라고 파악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용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