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올해 반도체 시설 투자를 줄이면서 남는 3조~4조 원 가량의 현금을 주주 배당에 활용할 것으로 전망됐다.

문지혜 흥국증권 연구원은 21일 "삼성전자의 현재 주가에 지난해 4분기 실적 감소와 올해 반도체업황 악화 전망의 영향이 반영돼있다"며 "주가가 3분기 말부터 반등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삼성전자, 반도체 투자 축소로 현금배당 늘릴 가능성 높아

▲ 김기남 삼성전자 DS부문 대표이사 부회장.


삼성전자는 올해 큰 폭의 실적 하락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반도체 수요가 줄어 업황이 나쁜 흐름을 보이고 있는데다 스마트폰과 디스플레이, 가전 등 다른 사업도 전반적 경기 불황으로 고전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하지만 문 연구원은 삼성전자의 올해 주가 흐름을 놓고 긍정적 전망을 보였다.

삼성전자가 올해 잉여 현금을 추가로 주주 환원에 활용하면서 배당성향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문 연구원은 "삼성전자는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잉여현금흐름의 50%를 주주 환원에 쓰는 방침을 유지하고 있다"며 "설비 투자 지연으로 3~4조 원의 추가 배당도 가능할 것"이라고 바라봤다.

삼성전자가 최근 반도체업황 침체에 대응해 반도체 시설 투자에 들이는 금액을 줄이고 있는 만큼 올해 주주들에 현금배당을 확대할 여력이 커졌다는 것이다.

문 연구원은 "삼성전자는 올해 33%에 이르는 사상 최대의 배당성향을 나타낼 것"이라며 "2018년 11월 기준 상장사 배당성향 평균치인 18.1%와 비교해 높은 편"이라고 분석했다.

배당성향은 상장기업의 당기순이익 가운데 현금으로 지급된 배당금 총액의 비율이다.

문 연구원은 삼성전자가 올해 3분기부터 추가 현금배당을 본격적으로 검토하면서 주가 반등에 힘을 실을 것으로 내다봤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