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모빌리티가 전기자전거 등 개인용 이동수단에 ‘승차공유’ 사업모델을 적용하면서 승차공유사업 확장의 기회를 엿보고 있다.

스타트업들은 물론 서울시, 세종시 등 지방자치단체들도 전기자전거 공유사업에 활발하게 뛰어들며 치열한 경쟁을 예고하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 카풀 제동에 전기자전거 공유로 첫 발 먼저 떼나

▲ 정주환 카카오모빌리티 대표.


19일 업계에 따르면 세계에서는 이미 승차공유사업이 ‘마이크로 모빌리티’까지 확장했으며 한국에서도 관련 회사가 생겨나고 있다. 
 


마이크로 모빌리티는 전기자전거, 전기스쿠터(킥보드) 등 친환경 동력을 이용한 개인용 이동수단을 뜻한다.  

한국에서는 스타트업 ‘일레클’이 전기자전거 공유 서비스를 시작해 서울시 상암 지역에서 서비스하고 있다. 전기스쿠터(킥보드)를 공유하는 사업에는 스타트업 ‘킥고잉’이 나섰다. 

카카오모빌리티도 승차공유사업을 넘어 공유 전기자전거사업까지 확장하기로 했다.

정주환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최근 자전거회사와 관련 업무협약을 맺는 자리에서 “택시와 내비게이션으로 대표되는 자동차를 수단으로 한 이동을 넘어 마이크로 모빌리티 서비스로 중·단거리 이동에서도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할 것”이라고 사업 확대 의지를 보였다. 

카카오모빌리티는 2019년 1분기부터 공유 전기자전거 서비스를 내놓을 계획을 세웠다. 삼천리자전거, 알톤스포츠와 전기자전거 공유 서비스를 위한 업무협약을 5일 맺었고 이 회사들의 전기자전거를 활용한 서비스를 시작해 전국으로 확대한다. 

지방자치단체 등에서도 친환경적이며 교통환경 등을 개선할 수 있다는 이유를 들어 전기자전거 공유사업에 나서고 있다. 

서울시는 2019년 4월 전기자전거 공유 서비스를 내놓기로 했다. 전기자전거 1천 대를 도입하기 위해 올해 추가경정예산에서 관련 예산을 확보할 계획을 세웠다. 

앞서 세종시도 전기자전거를 도입할 계획을 세웠으나 예산 문제 등으로 17일 무산됐다. 이춘희 세종시장은 첨단 이동수단 확충 공약에 따라 2019년부터 2022년까지 매년 200대씩 모두 800대의 공공 전기자전거를 도입할 계획을 세웠다. 

단거리 이동수단인 전기자전거와 전기스쿠터 등을 공유하는 사업은 이미 세계에서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가장 큰 시장은 중국이며 미국이 그 뒤를 잇고 있다.  

하이투자증권에 따르면 중국 상하이에 공유 자전거는 45만 대가 있고 베이징, 광저우, 선전 등에는 10만 대가 있다. 미국 워싱턴에는 3만7천 대, 뉴욕에는 1만 대, 샌프란시스코에는 1만 대 정도의 공유 자전거가 있다. 

중국에서는 오포, 모바이크, 헬로추싱이 가장 큰 공유 자전거 서비스기업이고 미국에서는 점프바이크가 최대 기업이다. 

우버는 전기자전거, 전기스쿠터 공유 플랫폼 ‘점프바이크’를 4월 인수하면서 전기자전거 공유사업까지 나섰다. 

점프바이크는 미국과 유럽에서 전기자전거 등을 서비스했으며 올해 10월 기준으로 13개 도시에서 4천 대 이상의 전기자전거를 제공했다. 그동안 자전거 공유와 관련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개발해왔으며 우버에는 2억 달러(한국 돈 2248억 원)에 인수됐다. 

미국 승차공유업체 리프트도 북미 최대 자전거 공유 서비스 ‘모티베이트’를 7월 인수했다.

승차공유업체뿐 아니라 완성차업체까지 사업에 나서고 있다. 포드는 지난해 공유자전거 플랫폼 ‘고바이크’를 시작했고 올해 11월 전기스쿠터 대여업체 ‘스핀’을 인수했다. 다임러는 전기스쿠터 공유 서비스를 2019년부터 독일에서 시작하기로 했다. 

중국에서는 자전거 공유 서비스업체 ‘오포’가 최대 회사로 2016년 기준으로 8만5천 대의 자전거를 확보하고 있다. 중국뿐 아니라, 영국, 미국, 호주, 프랑스까지 사업을 확장했다. ‘알리바바’ ‘디디추싱’ 등으로부터 투자를 받아 지금까지 모두 21억 달러를 유치했다. 

중국 자전거 공유 서비스업체 ‘모바이크’는 오포와 경쟁을 하고 있는 회사로 19개 국가, 200개 도시에서 8만 대의 자전거를 서비스하고 있다. 올해 8월부터 전기자전거까지 사업을 확장했다. 

문형진 문스타트업 대표는 “공유 자동차도 좋지만 복잡한 시내에서는 불편한 점이 있어 전기자전거, 전기스쿠터 등을 이용한 대체 수단이 나오고 있는 것”이라며 “매연을 줄이고 교통환경을 개선한다는 취지에서 지자체 등도 함께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정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