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거돈 부산시장이 김해신공항 추진 계획에 반발하며 문재인 정부 장관들을 곤혹스럽게 하고 있다.
오 시장이 직접 거명한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물론 공군의 김해신공항 사용과 관련해 정경두 국방부 장관에게까지 불똥이 튀는 모양새다.
국토교통부는 19일과 20일 부산시와 김해시에서 열기로 한 김해신공항 전략 환경영향 평가서 설명회를 하루 전날인 18일 연기하기로 결정했다.
지역사회와 충분히 의견을 나눈 뒤에 다시 추진하기로 했는데 부산시 등의 강한 반발에 부딪혀 한 발 물러서는 모양새로 보인다.
오거돈 부산시장이 6월 지방선거에서 김해신공항 대신 가덕도공항을 공약으로 내걸고 당선된 뒤 강경한 목소리를 내면서 김해신공항이 동력을 잃고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9월까지만 해도 국토교통부가 김해신공항 건설계획을 원안대로 추진하기로 하면서 오 시장의 가덕도공항론이 밀리는 형국이었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5일 국회에서 김해신공항의 기본계획을 연내 완성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하지만 부산 울산 경남의 동남권 관문공항 검증단이 6일 김해신공항이 동남권 관문공항 역할을 할 수 없다고 결론을 내면서 다시 김해신공항 반대 의견에 무게가 실렸다.
오 시장은 17일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서 “밑에 항공 전문가들의 의견을 따를 수밖에 없는 국토부 장관의 입장을 이해한다”면서도 “장관이 한번 새벽에 부산공항 국제선을 타러 와보면 불만의 의미가 무엇인지 알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토균형발전은 국토부 고유의 업무”라면서도 “국토부하고 대화가 안 되니 총리실에서 문제를 심판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을 직접 겨냥해 공세를 강화한 것이다.
김해신공항 논란은 국방부로도 번져나간다. 국방부가 김해공항으로 공군 정찰사령부를 이전하는 등 군사기능을 강화하고 있는 것을 놓고 오 시장이 민간공항 기능이 제한될 수 있다는 논리를 펴고 있기 때문이다.
오 시장은 17일 부산에서 김정일 공군 공중기동정찰사령관을 만나 “김해공항을 민간공항으로 바꿔 나가려는 것인지 군공항 성격을 강화하려는 것인지 분명히 해 달라”고 말했다.
오 시장은 “김해공항은 슬롯이 부족해 민간항공기 운영에 곤란을 겪고 있는데 정부가 부산시와 상의도 없이 공군사령부를 이전한 것을 이해할 수 없다”고 불만을 나타냈다.
국방부의 수장인 정경두 장관은 공군 참모총장 출신이다. 평택에 있던 공중기동정찰사령부를 김해공항으로 이전하는 방안이 검토된 것도 정 장관이 참모총장으로 있던 시절이다. 오 시장의 문제 제기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정 장관은 올해 국정감사 때 신공항 추진과 관련해 국토부와 다른 말을 해 논란을 빚은 바가 있다.
국회 국방위원회 국감에서 민홍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김해신공항과 관련해 국토부와 실무협의체를 운영하고 있는지 묻자 정 장관은 자료 제공과 협조는 했지만 협의체는 없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9월 김해신공항 기본계획 중간보고에서 공군과 8차례 실무협의체를 운영했다고 말한 적이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
오 시장이 직접 거명한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물론 공군의 김해신공항 사용과 관련해 정경두 국방부 장관에게까지 불똥이 튀는 모양새다.
국토교통부는 19일과 20일 부산시와 김해시에서 열기로 한 김해신공항 전략 환경영향 평가서 설명회를 하루 전날인 18일 연기하기로 결정했다.
지역사회와 충분히 의견을 나눈 뒤에 다시 추진하기로 했는데 부산시 등의 강한 반발에 부딪혀 한 발 물러서는 모양새로 보인다.
오거돈 부산시장이 6월 지방선거에서 김해신공항 대신 가덕도공항을 공약으로 내걸고 당선된 뒤 강경한 목소리를 내면서 김해신공항이 동력을 잃고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9월까지만 해도 국토교통부가 김해신공항 건설계획을 원안대로 추진하기로 하면서 오 시장의 가덕도공항론이 밀리는 형국이었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5일 국회에서 김해신공항의 기본계획을 연내 완성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하지만 부산 울산 경남의 동남권 관문공항 검증단이 6일 김해신공항이 동남권 관문공항 역할을 할 수 없다고 결론을 내면서 다시 김해신공항 반대 의견에 무게가 실렸다.
오 시장은 17일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서 “밑에 항공 전문가들의 의견을 따를 수밖에 없는 국토부 장관의 입장을 이해한다”면서도 “장관이 한번 새벽에 부산공항 국제선을 타러 와보면 불만의 의미가 무엇인지 알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토균형발전은 국토부 고유의 업무”라면서도 “국토부하고 대화가 안 되니 총리실에서 문제를 심판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을 직접 겨냥해 공세를 강화한 것이다.

▲ 오거돈 부산시장.
김해신공항 논란은 국방부로도 번져나간다. 국방부가 김해공항으로 공군 정찰사령부를 이전하는 등 군사기능을 강화하고 있는 것을 놓고 오 시장이 민간공항 기능이 제한될 수 있다는 논리를 펴고 있기 때문이다.
오 시장은 17일 부산에서 김정일 공군 공중기동정찰사령관을 만나 “김해공항을 민간공항으로 바꿔 나가려는 것인지 군공항 성격을 강화하려는 것인지 분명히 해 달라”고 말했다.
오 시장은 “김해공항은 슬롯이 부족해 민간항공기 운영에 곤란을 겪고 있는데 정부가 부산시와 상의도 없이 공군사령부를 이전한 것을 이해할 수 없다”고 불만을 나타냈다.
국방부의 수장인 정경두 장관은 공군 참모총장 출신이다. 평택에 있던 공중기동정찰사령부를 김해공항으로 이전하는 방안이 검토된 것도 정 장관이 참모총장으로 있던 시절이다. 오 시장의 문제 제기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정 장관은 올해 국정감사 때 신공항 추진과 관련해 국토부와 다른 말을 해 논란을 빚은 바가 있다.
국회 국방위원회 국감에서 민홍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김해신공항과 관련해 국토부와 실무협의체를 운영하고 있는지 묻자 정 장관은 자료 제공과 협조는 했지만 협의체는 없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9월 김해신공항 기본계획 중간보고에서 공군과 8차례 실무협의체를 운영했다고 말한 적이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