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이 디지털 플랫폼에 계열사들을 한 데 모아 '하나금융그룹 디지털 혁신’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금융그룹의 통합 멤버십 플랫폼 ‘하나멤버스’가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김정태, 하나금융그룹의 새로운 디지털금융 패러다임 구축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대표이사 회장.


하나멤버스는 하나금융그룹이 2015년 금융권 최초로 출시한 통합 플랫폼으로 KEB하나은행, 하나카드, 하나캐피탈 등 6곳 하나금융그룹 계열사의 고객들을 ‘하나머니’로 묶어 내고 있다. 

여기에 최근 인공지능 금융서비스 ‘하이뱅킹’, 하나은행의 환전서비스 등 새로운 메뉴를 추가하면서 누적 회원수가 1400만 명을 넘었다. 하나멤버스는 앞으로도 다양한 상품들을 계속해서 추가하기로 했다.

김 회장은 ‘디지털 금융’을 앞세워 하나금융그룹을 혁신할 계획을 세워두고 있다.

각 계열사들이 업종별로 약진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빅데이터와 핀테크가 보편화되는 4차 산업혁명기의 새로운 금융 패러다임에서는 금융그룹의 통합 시너지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전략에 따른 것이다.

김 회장은 최근 인천 청라에서 열린 하나금융그룹의 ‘디지털 선포식’에서 통합 데이터센터를 힘주어 자랑했다.

통합 데이터센터는 하나금융그룹 계열사의 정보통신(IT) 역량을 한 데 모은 장소로 지금까지 모은 빅데이터 양은 약 2페타바이트(PB) 정도다. DVD 영화로 전환하면 약 34만8천 편 수준이다.

김 회장은 “은행 따로 증권 따로 보험 따로 데이터를 관리하면 정보화 과정이 복잡하고 비용도 많이 드는데 통합하면 비용도 줄이고 효율도 높아진다”고 말했다.

이어 데이터를 바다의 물에 비유하면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정보로 만들기 위해 정제하고 분석하는 작업을 하는 곳이 통합 데이터센터”라고 덧붙였다.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확보한 데이터의 양이 많아져야 하는 만큼 고객들의 데이터를 모으고 가공할 기폭제로 김 회장은 '하나멤버스'를 점찍었다.

하나멤버스가 인기몰이를 하게 되면 신규 고객을 더욱 많이 유치할 수 있을뿐 아니라 하나금융그룹의 각 계열사에 속한 고객들이 다른 계열사의 고객이 될수도 있다. 

하나금융그룹 관계자는 “하나멤버스는 하나은행, 하나카드, 하나캐피탈 등 6개 계열사들이 입점해 있는 공간으로 이 회사들은 모두 하나멤버스 고객들의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하나멤버스에 가입하는 고객들이 많아질수록 이를 활용해 하나멤버스 플랫폼 안에서 각 계열사들이 여러 가지 전략을 사용할 수 있는 셈이다.

예를 들어 하나멤버스 고객들의 평균 연령을 고려해 하나은행이 이를 반영한 새 상품을 추가하거나 상품 내용을 바꿔볼 수 있다.

하나금융그룹 관계자는 “이전에 하나멤버십이라는 통합 플랫폼을 내놨을 때는 고객들이 다소 생소하다고 느꼈는데 최근 여러 서비스를 추가하면서 반응이 좋아졌다”며 “향후 하나금융그룹의 통합 플랫폼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 회장은 하나금융그룹을 '금융'이 아닌 ‘데이터 회사’라고 표현할 정도로 데이터를 활용한 사업에 관심이 많다.

그는 “하나금융의 미래가 데이터산업에 있다는 확신이 있기 때문에 그룹의 디지털사업에 과감한 투자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윤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