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정부가 2030년 무탄소 선박 상용화 및 4대 권역별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사업 추진을 골자로 하는 탄소중립 전략을 내놨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9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탄소중립특별위원회’ 제8회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과기부 2030년 무탄소 선박 상용화, 4대 권역별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추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19일 '탄소중립특별위원회'를 열고 '탄소중립 기술혁신 전략 로드맵'과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기술고도화 전략'을 발표했다.


탄소중립특별위원회는 국가 탄소중립 연구개발 컨트롤타워로서 범부처 탄소중립 연구개발 정책을 총괄·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날 위원회에서는 ‘탄소중립 기술혁신 전략 로드맵’과 ‘CCU 기술고도화 전략’ 2건이 발표됐다.

탄소중립 기술혁신 전략 로드맵에는 △탄소중립 선박 △제로에너지건물 △태양광 등 3개 분야의 내용이 담겼다.

정부에 따르면 탄소중립 선박은 암모니아, 수소 등 무탄소 연료를 사용하거나 액화천연가스(LNG) 등 저탄소 연료 사용에 따른 이산화탄소를 처리해 순 탄소배출이 제로(0)인 선박을 말한다.

정부는 국제해사기구(IMO)가 올해부터 현존선 환경규제(탄소집약도지수 규제)를 본격적으로 시행하는 등 글로벌 해운시장 탄소중립 추세가 가속화하는 상황에서 신속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정부는 2030년 무탄소 선박을 상용화하고 친환경 선박 기자재 국산화율 90% 이상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화석연료를 사용하던 선박용 내연기관을 무탄소 연료 및 저탄소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으로 대체하기 위한 연구개발(R&D)을 지원한다.

전기추진 선박이 충분한 운항 거리를 확보하고 안전하게 활용되기 위한 대용량화 설계 및 최적화 기술개발도 진행한다.

전기추진 선박은 암모니아, 수소를 쓰는 연료전지 또는 배터리를 발전원으로 하는 선박이다.

또 연료를 운송·저장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 엔진에서 연료를 연소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 등을 활용할 에너지 효율 향상 기술을 개발한다.
 
과기부 2030년 무탄소 선박 상용화, 4대 권역별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추진

▲ '탄소중립 기술혁신 전략 로드맵' 가운데 탄소중립 선박 전략.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로에너지건물 분야에서는 2030년까지 건물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보다 30% 이상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로에너지건물은 에너지 사용량 줄이는 동시에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해 사용 에너지와 생산 에너지의 합이 최종적으로 제로(0)가 되는 건물을 의미한다.

먼저 건물 외피에 사용되는 자재 및 부품의 전주기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한 기술개발에 착수한다. 이와 함께 건물 외피에서 손실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개발을 진행하기로 했다.

또 현재의 화석연료 기반 냉·난방 및 급탕 설비를 히트펌프 기반으로 전기화하고 건물 내 열원 설비를 최적화하는 제어기술 확보에 나선다.

이 밖에도 소규모 공동체 단위에서 건물 사이 잉여 에너지를 공유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 나아가 도시 전반의 에너지 거래 및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 구축 등을 추진한다.

태양광 분야에서는 발전 효율을 높인 태양광 제품 기술개발에 집중한다.

대표적으로 에너지 전환효율이 높고 단가가 저렴해 차세대 태양광 셀 소재로 꼽히는 페로브스카이트 활용을 목표로 한다.

현재 실리콘 기반 태양광 셀은 발전효율이 25% 내외로 이론적 한계에 근접해 있다. 페로브스카이트를 실리콘 태양광 셀에 적층하면 여러 파장을 흡수할 수 있어 발전효율이 36% 이상까지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됐다.

이외에도 태양광 설치공간에 제약이 큰 국내 여건을 고려해, 건물, 영농, 수상, 수송 등으로 태양광 사용처를 다변화하기 위한 기술개발에도 나선다.

CCU 기술고도화 전략은 서부권, 남부권, 동남권, 중부권 등 4대 권역별 ‘플래그십 프로젝트(예비타당성조사)’를 추진하는 것이 핵심이다.

서부권에서는 화학, 생물, 광물화 등 여러 산업과 CCU 기술을 접목하는 실증 플랫폼 구축이 진행된다. 남부권에서는 지역의 강점인 화학산업과 주로 연계된 기술개발이 추진된다.

동남권에서는 기존 철강 산업과 연계해 제철 과정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로 메탄올을 생산하거나 슬래그로 대체 건설 소재를 생산하는 것이 목표로 설정됐다. 중부권에서는 지역 특화산업인 시멘트 산업과 연계해 레미콘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활용하는 방안이 마련된다.

이와 함께 민·관 공통투자 지원, 신규 국책연구과제 기획, 인력양성,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통합법안 마련 및 CCU 기술 국가표준 수립 등이 추진된다.

주영창 과기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그동안은 국가적 목표 달성을 위해 명확한 목표와 시한을 제시하는 ‘임무지향 연구개발 체계’를 통해 탄소중립 기반을 마련해왔다”며 “앞으로는 세계를 무대로 최고에 도전하는 차세대 혁신 기술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