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온 주가가 오를 것으로 예상됐다.
하반기 중국에서 매대가 증가하며 실적 성장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김정욱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6일 오리온 목표주가를 17만 원,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5일 오리온 주가는 11만5천 원에 거래를 끝냈다.
김 연구원은 “11월 중국의 대형 마트 매대를 조사한 결과 오리온의 스낵·파이·비스킷의 일반 및 행사 매대 수가 28% 증가하며 매대 점유율이 2.8%포인트 확대됐다”며 “월 단위로 개선되고 있는 중국 매출액 회복의 원동력인 매대 증가를 확인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오리온은 최근 베이징 까르푸의 일반 스낵 매대가 재단장으로 일반 매대를 확대한 데다가 베이징 오샹· 상하이 까르푸의 대형 행사 매대에도 신규로 입점했다.
김 연구원은 “오리온의 중국사업은 유통구조 개선, 광고·판촉비 절감, 물류비 축소로 지속적으로 15%를 웃도는 영업이익률을 보일 수 있을 것”이라며 “오리온은 2분기 이후 꼬북칩, 혼다칩, 체리QT파이, 딸기초코파이, 액상감자칩, 생크림파이 등 중국 시장에 공격적으로 신제품을 출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와 베트남, 러시아에서 제과사업도 매출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김 연구원은 “국내 제과시장이 0~1%대 성장으로 정체를 보이는 가운데 오리온은 꼬북칩, 썬칩, 생크림파이, 오그래놀라 등 신제품 효과로 시장 성장을 초과하는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며 “4분기에 베트남에서 사업은 10% 수준의 매출 성장을 회복하고 러시아에서 사업 역시 7~8%의 매출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오리온은 4분기 매출 5330억 원, 영업이익 920억 원을 거둘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10.9%, 영업이익은 310.6%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윤휘종 기자]
하반기 중국에서 매대가 증가하며 실적 성장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 이경재 오리온 대표이사 사장.
김정욱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6일 오리온 목표주가를 17만 원,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5일 오리온 주가는 11만5천 원에 거래를 끝냈다.
김 연구원은 “11월 중국의 대형 마트 매대를 조사한 결과 오리온의 스낵·파이·비스킷의 일반 및 행사 매대 수가 28% 증가하며 매대 점유율이 2.8%포인트 확대됐다”며 “월 단위로 개선되고 있는 중국 매출액 회복의 원동력인 매대 증가를 확인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오리온은 최근 베이징 까르푸의 일반 스낵 매대가 재단장으로 일반 매대를 확대한 데다가 베이징 오샹· 상하이 까르푸의 대형 행사 매대에도 신규로 입점했다.
김 연구원은 “오리온의 중국사업은 유통구조 개선, 광고·판촉비 절감, 물류비 축소로 지속적으로 15%를 웃도는 영업이익률을 보일 수 있을 것”이라며 “오리온은 2분기 이후 꼬북칩, 혼다칩, 체리QT파이, 딸기초코파이, 액상감자칩, 생크림파이 등 중국 시장에 공격적으로 신제품을 출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와 베트남, 러시아에서 제과사업도 매출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김 연구원은 “국내 제과시장이 0~1%대 성장으로 정체를 보이는 가운데 오리온은 꼬북칩, 썬칩, 생크림파이, 오그래놀라 등 신제품 효과로 시장 성장을 초과하는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며 “4분기에 베트남에서 사업은 10% 수준의 매출 성장을 회복하고 러시아에서 사업 역시 7~8%의 매출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오리온은 4분기 매출 5330억 원, 영업이익 920억 원을 거둘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10.9%, 영업이익은 310.6%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윤휘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