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과 서울시가 비영리 사단법인 ‘에너지나눔과평화’와 손잡고 만든 태양광 발전소가 준공됐다.
태양광발전소에서 나오는 전력을 팔아 얻는 수익은 취약계층 청소년들에게 기부된다.
LG화학은 6일 서울 성동구 중랑물재생센터에서 민간 지원 공익형 태양광발전소인 ‘희망 그린(Green) 발전소’ 준공식을 열었다.
희망 그린 발전소는 앞으로 622KW 규모의 전략을 생산해 해마다 370톤 규모의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LG화학은 기대하고 있다. 20년 산 소나무 13만 그루 이상을 심은 효과와 동일하다.
LG화학은 태양광 자재와 설치비 등 사업비를 지원했다. 서울시는 중랑물재생센터 안에 1만3884㎡ 부지를 제공했고 태양광 발전사업 승인 및 각종 인·허가를 도왔다.
발전소 시공을 총괄했던 에너지나눔과평화가 20년 동안 발전소를 운영하게 된다.
LG화학과 서울특별시, 에너지나눔과평과는 20년 동안 태양광 전력 판매를 통해 조성되는 12억4천만 원(한 해 기준 6200만 원)규모의 발전 수익을 취약계층과 저소득층 청소년을 돕는 데 쓰기로 했다.
박진수 LG화학 부회장은 “희망 그린 발전소사업은 민관이 함께 힘을 모아 어려운 이웃을 지속적으로 후원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며 “환경을 지키면서 이웃 사랑도 실천할 수 있는 LG화학만의 차별적 사회공헌활동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현정 기자]
태양광발전소에서 나오는 전력을 팔아 얻는 수익은 취약계층 청소년들에게 기부된다.

▲ 희망 그린 발전소 전경.
LG화학은 6일 서울 성동구 중랑물재생센터에서 민간 지원 공익형 태양광발전소인 ‘희망 그린(Green) 발전소’ 준공식을 열었다.
희망 그린 발전소는 앞으로 622KW 규모의 전략을 생산해 해마다 370톤 규모의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LG화학은 기대하고 있다. 20년 산 소나무 13만 그루 이상을 심은 효과와 동일하다.
LG화학은 태양광 자재와 설치비 등 사업비를 지원했다. 서울시는 중랑물재생센터 안에 1만3884㎡ 부지를 제공했고 태양광 발전사업 승인 및 각종 인·허가를 도왔다.
발전소 시공을 총괄했던 에너지나눔과평화가 20년 동안 발전소를 운영하게 된다.
LG화학과 서울특별시, 에너지나눔과평과는 20년 동안 태양광 전력 판매를 통해 조성되는 12억4천만 원(한 해 기준 6200만 원)규모의 발전 수익을 취약계층과 저소득층 청소년을 돕는 데 쓰기로 했다.
박진수 LG화학 부회장은 “희망 그린 발전소사업은 민관이 함께 힘을 모아 어려운 이웃을 지속적으로 후원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며 “환경을 지키면서 이웃 사랑도 실천할 수 있는 LG화학만의 차별적 사회공헌활동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