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석유공사는 6일 기준으로 전국 주유소의 보통휘발유 평균 가격은 리터당 1609.97원이라고 7일 밝혔다. 휘발유 가격은 4월13일 리터당 1549.64원에 거래된 뒤부터 하루도 빼놓지 않고 오르고 있다. 6월 첫째 주 평균 가격은 2014년 12월 네 번째 주 이후 3년 반 만에 리터당 1600원을 넘겼다. 사진은 국내 주유소의 가격판 모습. <뉴시스>
한국석유공사는 6일 기준으로 전국 주유소의 보통 휘발유 평균가격은 리터당 1609.97원이라고 7일 밝혔다.
국내 휘발유 가격은 4월13일 리터당 1549.64원에 거래된 뒤부터 하루도 빼놓지 않고 오르고 있다. 6월 첫째 주 평균가격은 2014년 12월 네 번째 주 이후 3년 반 만에 리터당 1600원을 넘겼다.
국제유가의 내림세와 반대로 휘발유 가격이 오르는 이유는 '시차 효과' 때문이다.
정제유는 원유 상태로 들어와 정제된 뒤 실제로 판매될 때까지 한 달 넘게 걸린다. 정제유가 판매될 때 기준이 되는 원유 가격은 판매시점을 기준으로 매겨지기 때문에 국제유가 하락세가 당장 반영되지 않는다. 시중에 판매되는 휘발유 가격은 한 달 전 국제유가가 반영되어 있는 셈이다.
소비자들이 사는 휘발유 가격은 정유사 몫, 국가의 몫인 세금, 주유소 몫 등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정유사가 판매하는 가격에 세금이 붙어 주유소로 판매되는 가격이 결정되고 각 주유소에서 마진을 붙여 소비자가 접하는 최종 가격이 결정된다.
정유사 판매가격은 국제휘발유 가격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국제 휘발유 가격은 달러로 결정되는 만큼 환율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
국제 휘발유 가격에 관세로 원유가격의 3%가 부과되고 석유 수입 부과금 리터당 16원과 정유사의 유통비용이 더해져 정유사 판매가격이 결정된다.
주유소에서 파는 보통 휘발유 가격이 리터당 1600원일 때 정유사가 주유소에 파는 가격은 40.6% 수준인 리터당 650원 정도다.
보통 휘발유에 부과되는 세금은 교통세, 교육세, 주행세다. 교통세는 리터당 529원, 교육세는 교통세의 15%, 주행세는 교통세의 26%다. 부가세 10%와 품질 검사 수수료 리터당 0.469원도 추가로 부과된다. 고급 휘발유라면 리터당 36원이 별도의 판매부과금으로 더해진다. 세금을 모두 합하면 880원 가량 된다.
휘발유는 정유사의 판매가격에 세금이 더해진 가격으로 각 주유소에 공급된다. 각 주유소는 여기에 마진을 붙이고 마진에 부가가치세를 더해 최종 휘발유가격을 결정한다. 리터당 1600원인 보통 휘발유는 대개 50~60원 정도가 주유소의 마진이다.
주유소 마진은 직영인지 자영인지 여부, 셀프주유소인지 직원을 쓰는지 여부, 지역별 임대료 상황 등 각 주유소의 개별적 상황에 따라 다르다. 주유소마다 주간 단위로 유가 추이를 전망해 휘발유를 사들이기 때문에 재고 원가도 차이가 난다. 동네 주유소마다 휘발유 가격이 다른 이유다.
휘발유 값이 오르면서 운전자들은 조금이라도 싼 주유소를 찾으려 애쓰고 있다. 방법은 한국석유공사가 마련했다.
한국석유공사는 주유소마다 다른 휘발유, 등유, 경유 등 가격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인터넷 사이트 ‘오피넷’을 2008년부터 세계 최초로 운영하고 있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정보를 제공한다.
오피넷은 전국 1만2천 곳이 넘는 주유소와 2천 여 곳의 액화천연가스 충전소의 판매가격 정보를 매일 수집해 알려준다. 유종과 거리를 선택하면 해당 거리 안에 있는 주유소의 휘발유와 경유의 판매가격을 비교해서 볼 수 있다.
오피넷의 인터넷 사이트 주소는 www.opinet.co.kr이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구글 플레이스토어, 애플 앱 스토어 등 각 운영체제의 앱 장터에서 ‘오피넷’을 검색하면 내려받을 수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