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가 언론을 탄압하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가 강하게 비판했다.
워싱턴포스트는 박근혜 대통령이 독재자 아버지의 대본을 이어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 |
||
▲ 박근혜 대통령 |
워싱턴포스트는 “박 대통령이 독재자 아버지의 각본을 이어받고 있다”고 피터 벡 뉴패러다임인스티튜트 고문의 말을 인용했다.
워싱턴포스트는 “공공의 이익에 대한 보도는 명예훼손의 예외가 적용됐지만 더 이상 그렇지 않다”고 지적했다.
워싱턴포스트는 청와대가 세월호 참사 유가족 동원 의혹을 제기한 한겨레, KT인사 청와대 개입설을 보도한 조선일보와 시사저널, 그리고 최근 정윤회 문건을 보도한 세계일보가 청와대로부터 고소를 당한 사례를 들었다.
워싱턴포스트는 박 대통령의 사생활 의혹을 제기한 산케이 지국장을 고소한 것은 매우 정치적 고려가 작용한 것 같다고 분석했다. 비슷한 내용을 보도한 조선일보에 청와대가 대응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철희 두문정치전략연구소장은 워싱턴포스트와 인터뷰에서 “정부가 언론에 부정적 기사를 쓰지 말라는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며 “박근혜 정부가 전형적인 권위주의 정권이라는 것을 보여 준다”고 지적했다. 이 소장은 “현 정권에서 민주주의는 퇴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유명희 청와대 대변인은 메일을 통해 “한국정부는 헌법에 따라 언론의 완전한 자유를 보장하고 있으며 모든 한국언론은 표현의 자유를 누린다”며 “그러나 거짓 정보를 진짜인 것처럼 모함하는 것까지 허용된 것은 아니다”라고 입장을 밝혔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