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대우조선해양 지원방안이 손실분담 형평성과 원금상환 가능성의 부족으로 채권자들을 설득하기 힘들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임정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27일 “대우조선해양의 투자자들에게 해운업종과 동일한 손실을 부담하라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며 “원금상환 가능성도 낮은 만큼 투자자들은 정부의 채무조정안을 받아들이기 힘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
|
|
▲ 임종룡 금융위원장. |
임 연구원은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의 투자자들과 대우조선해양의 투자자들을 비교하며 형평성을 지적했다.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의 경우 신용등급 하락을 인지한 상태에서 정부의 지원가능성을 믿고 고금리에 투자한 투자자들이지만 대우조선해양의 경우 분식회계 탓에 피해를 본 투자자라는 것이다.
임 연구원은 “대우조선해양 채권은 2015년 약 3조 원의 분식회계가 적발된 뒤 신용등급이 급락했다”며 “투자자들의 부적절한 판단으로 손실이 확대된 해운업종의 회사채와 달리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의 도덕적해이에서 비롯된 대우조선해양의 유동성 위기는 책임분담 측면에서 분명 구분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우조선해양이 추가지원을 받아 정부의 계획대로 살아나더라도 회사채를 상환할 수준까지 회생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임 연구원은 “조선업계가 절대적인 수주물량 부진에 따라 경쟁이 심화하고 있어 대우조선해양의 수주회복은 제한적일 것”이라며 “정부의 계획대로 2021년 연간 7조 원 내외의 매출과 1.5% 내외의 영업이익률을 달성하더라도 만기가 돌아오는 회사채를 자력으로 상환할 수 있을지 미지수”라고 내다봤다.
이번 구조조정으로 시중은행 등 금융권의 손실부담 역시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됐다.
임 연구원은 “시중은행들은 이미 대우조선해양을 요주의자산으로 분류하고 있지만 이번 구조조정으로 추가 충당금이 불가피할 전망”이라며 “위험노출액(익스포저) 규모가 큰 하나은행과 국민은행 등이 충당금 부담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국책은행인 KDB산업은행과 한국수출입은행도 대우조선해양의 구조조정으로 실적에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관측됐다.
박진영 HMC투자증권 연구원은 “대우조선해양의 구조조정으로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은 대규모 충당금을 적립할 것으로 보인다”며 “국책은행의 자본확충 이슈가 다시 부각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산업은행은 대우조선해양의 대주주이자 주채권은행, 수출입은행은 대우조선해양의 최대채권은행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한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