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정부가 현지업체의 전기차에 지급하던 보조금을 삭감한 뒤 판매량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비야디(BYD)등 현지 배터리업체의 경쟁력이 크게 약화할 가능성이 나온다.
 
삼성SDI와 LG화학은 중국정부의 규제에 부딪혀 공급이 크게 줄며 막대한 타격을 받았는데 보조금 격차가 줄어들 경우 기술력을 앞세워 충분히 시장에 다시 진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삼성SDI LG화학, 중국 전기차배터리시장에 재진입 가능성  
▲ 전영현 삼성SDI 사장(왼쪽)과 이웅범 LG화학 전지사업본부 사장.
경제전문지 포브스는 13일 “중국 비야디는 사실상 파산을 위한 길로 접어들고 있다”며 “올해 중국정부의 전기차 보조금이 끊기고 나면 기술력 부족으로 패배자로 남고 말 것”이라고 보도했다.

중국정부는 올해부터 전기차 보조금을 20% 축소한 데 이어 2020년까지 이를 전면적으로 폐지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보조금 축소의 영향으로 비야디의 1~2월 전기차 판매량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56% 급감했다.
 
중국은 충분한 기술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한 전기차업체를 솎아내겠다는 목적으로 이런 강력한 정책을 펴고 있다. 비야디 역시 정책변화에 따른 직격타를 맞은 셈이다.
 
비야디는 전기차 완제품과 배터리를 모두 생산하는 업체로 일본 파나소닉에 이어 글로벌 배터리 생산량 2위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기술력 부족으로 외부업체에 공급하는 비중은 미미하다.

보조금 축소의 영향으로 비야디를 포함한 중국 전기차기업들의 판매량이 급감하면 대부분의 중국 배터리업체들은 큰 경영난에 빠질 수밖에 없다. 유럽과 미국 등 세계 주요 완성차업체에 배터리를 거의 공급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증권사 번스타인은 “중국업체의 배터리는 파나소닉과 LG화학, SK이노베이션과 삼성SDI 등 주요업체와 비교해 배터리 밀도 등 기술력에서 크게 밀린다”며 “공격적인 생산증대에 따른 규모의경제 효과가 유일한 장점”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중국 배터리업체들이 보조금 축소의 악영향을 받을 경우 공급이 줄며 공장의 가동률 하락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어 추가적인 생산투자에 나서기도 어렵게 된다.
 
삼성SDI와 LG화학이 이런 변화에 수혜를 입어 점진적으로 중국 전기차업체에 배터리공급을 재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SDI와 LG화학은 지난해 중국정부의 전기차배터리 보조금 지급대상에서 제외되며 중국 완성차고객사를 대부분 놓쳐 실적에 큰 타격을 받았다.
 
하지만 중국정부의 정책변화로 모든 전기차가 보조금을 받기 어렵게 될 경우 완성차기업들은 자연히 기술력에서 앞선 삼성SDI와 LG화학의 배터리 수급을 선호할 공산이 크다. 

삼성SDI와 LG화학은 모두 중국에 대규모 배터리공장을 보유하고 있어 중국업체와 동일한 조건에서 맞경쟁을 벌일 경우 충분히 우위를 점할 수 있다.
 
시장조사기관 EV볼륨에 따르면 중국의 전기차 판매량은 지난해 기준으로 전세계에서 46%의 비중을 차지했다. 정부 보조금이 축소돼도 여전히 세계에서 중요한 시장으로 남을 것으로 보인다.
 
  삼성SDI LG화학, 중국 전기차배터리시장에 재진입 가능성  
▲ 중국 시안의 삼성SDI 전기차배터리공장.
장정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중국 자동차공업협회는 연초 전기차 판매량 급감에도 장기적인 수요성장을 낙관하고 있다”며 “삼성SDI 등 한국업체에는 긍정적인 분위기”라고 내다봤다.
 
삼성SDI와 LG화학은 모두 중국 배터리공장에서 생산되는 물량을 유럽과 미국 완성차기업에 공급하며 가동률을 유지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수익성 악화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중국 시장공략에 재도전을 준비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런 전략을 통해 삼성SDI와 LG화학은 실적타격을 최대한 방어하며 중국정부의 전기차 보조금이 순차적으로 축소되는 시기에 맞춰 본격적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게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SDI 관계자는 “중국 현지 배터리업체들은 전반적으로 영세한 수준이라 글로벌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쉽지 않다”며 “중국 공급이 늦어지더라도 중국공장 가동률을 늘리는 것이 인건비 등 고정비의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어 오히려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