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유럽 몬테네그로 공항 개발운영사업권 획득에 한발 다가섰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몬테네그로 정부가 추진한 ‘몬테네그로 2개 공항 개발운영 PPP(민관협력투자개발)사업’ 입찰 결과 1위로 선정됐다고 21일 밝혔다.
이 사업은 유럽 발칸반도 아드리아해 연안에 위치한 몬테네그로 수도 공항인 포드고리차공항과 주요 관광지 공항인 티밧공항의 30년 동안의 운영사를 찾는 대규모 국제 입찰 프로젝트다.
몬테네그로에는 유럽연합(EU) 가입을 앞두고 관문 인프라 확충을 위한 핵심 사업으로 여겨진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기존 유럽 전역에서 다수의 공항 운영 경험을 보유한 유럽계 운영사를 제치고 1위로 선정됐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인천국제공항공사에 따르면 이번 입찰 결과는 한국 공항 운영사가 유럽 본토 시장에서 현지 운영사를 앞지른 최초의 사례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 주세르비아대한민국대사관 등 관계기관의 협력 아래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실행력과 금융 안정성을 인정 받았다.
코트라(KOTRA) 베오그라드 무역관의 현지 네트워크를 통한 현지 입찰 상황의 면밀한 관찰 및 대응, 한국산업은행(KDB)의 금융자문, 한국수출입은행과 공동으로 진행한 금융지원의향서(LOI) 제출은 입찰 결과에 밑바탕이 된 것으로 평가된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초기 대규모 투자와 부동산 중심 개발을 앞세운 경쟁사와 달리 운영 효율성 및 장기 수익성을 기반으로 한 단계적·최적 투자 전략이라는 차별화한 입찰안을 제시했다.
환경사회영향평가, 인허가 등 현실적 변수를 고려한 개발공사 일정, 착공 전부터 여객 서비스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효율화 및 최적화 프로그램 ‘퀵윈(Quick Win)’ 도입 등도 제안했다.
이밖에 저비용항공사(LCC)와 대형항공사(FSC)를 균형 있게 유치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전략, 몬테네그로 EU 가입 및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에 따른 러시아 노선 수요 회복 가능성 등을 반영한 시장 성장 전망, 장기적 수익성 확보 전략도 입찰안에 포함됐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이의제기 기간을 거쳐 최종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몬테네그로 정부와 양허계약 체결 등의 절차 이후 올해 말 최종계약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학재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은 “우리 정부와 정책금융기관이 힘을 모아 이뤄낸 글로벌 인프라 진출의 모범적 성과”라며 “앞으로 본계약까지 성공적으로 완수해 글로벌 공항 운영사로서 입지를 공고히 하고 양질의 해외공항 사업 진출을 본격화하겠다”고 말했다. 장상유 기자
인천국제공항공사는 몬테네그로 정부가 추진한 ‘몬테네그로 2개 공항 개발운영 PPP(민관협력투자개발)사업’ 입찰 결과 1위로 선정됐다고 21일 밝혔다.

▲ 인천국제공항공사가 몬테네그로 공항 2곳의 30년 개발운영사업권 입찰에서 1위에 올랐다.
이 사업은 유럽 발칸반도 아드리아해 연안에 위치한 몬테네그로 수도 공항인 포드고리차공항과 주요 관광지 공항인 티밧공항의 30년 동안의 운영사를 찾는 대규모 국제 입찰 프로젝트다.
몬테네그로에는 유럽연합(EU) 가입을 앞두고 관문 인프라 확충을 위한 핵심 사업으로 여겨진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기존 유럽 전역에서 다수의 공항 운영 경험을 보유한 유럽계 운영사를 제치고 1위로 선정됐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인천국제공항공사에 따르면 이번 입찰 결과는 한국 공항 운영사가 유럽 본토 시장에서 현지 운영사를 앞지른 최초의 사례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 주세르비아대한민국대사관 등 관계기관의 협력 아래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실행력과 금융 안정성을 인정 받았다.
코트라(KOTRA) 베오그라드 무역관의 현지 네트워크를 통한 현지 입찰 상황의 면밀한 관찰 및 대응, 한국산업은행(KDB)의 금융자문, 한국수출입은행과 공동으로 진행한 금융지원의향서(LOI) 제출은 입찰 결과에 밑바탕이 된 것으로 평가된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초기 대규모 투자와 부동산 중심 개발을 앞세운 경쟁사와 달리 운영 효율성 및 장기 수익성을 기반으로 한 단계적·최적 투자 전략이라는 차별화한 입찰안을 제시했다.
환경사회영향평가, 인허가 등 현실적 변수를 고려한 개발공사 일정, 착공 전부터 여객 서비스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효율화 및 최적화 프로그램 ‘퀵윈(Quick Win)’ 도입 등도 제안했다.
이밖에 저비용항공사(LCC)와 대형항공사(FSC)를 균형 있게 유치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전략, 몬테네그로 EU 가입 및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에 따른 러시아 노선 수요 회복 가능성 등을 반영한 시장 성장 전망, 장기적 수익성 확보 전략도 입찰안에 포함됐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이의제기 기간을 거쳐 최종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몬테네그로 정부와 양허계약 체결 등의 절차 이후 올해 말 최종계약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학재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은 “우리 정부와 정책금융기관이 힘을 모아 이뤄낸 글로벌 인프라 진출의 모범적 성과”라며 “앞으로 본계약까지 성공적으로 완수해 글로벌 공항 운영사로서 입지를 공고히 하고 양질의 해외공항 사업 진출을 본격화하겠다”고 말했다.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