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시민들의 기대에도 불구하고 이번 대통령 선거에 나선 후보들은 기후대응은 뒷전으로 미루고 있어 문제로 지적됐다. 심지어 어떤 대선 후보는 관련 공약조차 내놓지 않고 있다.
국내 기후단체 기후솔루션은 올해 4월48일부터 5월24일까지 진행한 '기대해: 기후대선을 지지해(기대해)' 캠페인에 참여한 시민 2038명이 '기후 대선'을 향한 지지를 표명했다고 26일 전했다.
캠페인 참여자들은 분리수거, 대중교통 이용 등 시민 개개인의 일상적 실천을 넘어 기후위기 대응에는 국가 차원의 대응이 절실하다는 문제의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정부의 적극적 역할과 책임있는 정책 추진을 강력히 요구했다.
참여자들은 "새로운 정부는 과감하고 정의로운 기후정책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며 "단기 성과보다는 장기적 이익을 고려하는 대통령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재생에너지 분야에서도 "깨끗한 전기를 사용하고 싶다"며 "대선 후보들은 산업 진흥을 말하면서도 이를 뒷받침할 재생에너지 공약을 생략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시민들의 강력한 요구에도 불구하고 이번 대선에서 후보들은 기후 정책에 큰 관심을 보이지는 않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실제 23일 진행된 제2차 대선 후보 TV토론회에서 '기후위기'가 역대 대선 최초로 사회 분야 주요 주제로 선정됐으나 참여한 후보들은 기후 문제를 거의 언급하지 않았다.
토론에 참여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 김문수 국민의 힘 후보,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모두 본인 발언 차례에 원자력과 재생에너지 비중 문제, 기존 친환경 정책의 효용성 여부 등을 언급했을 뿐 기후대응을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유일하게 기후대응을 직접 언급한 것은 이준석 후보에 기후대응과 관련한 견해를 물은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뿐이었다.
권영국 후보는 "이준석 후보의 공약집 어디에도 기후 공약은 보이지 않았고 시민단체와 재생에너지 관련 질의를 했을 때도 답변을 피하는 것으로 보였다"며 "청년을 대표한다는 사람이 미래세대가 가장 관심을 갖는 기후 공약은 단 하나도 제시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에 이준석 후보는 "당 차원에서 이미 RE100과 CF100과 같은 국제적 기준이 있는 환경 규제는 잘 따르겠다는 입장을 내놓은 바가 있다"며 "기후환경 문제에 대해 젊은 세대가 가진 방향성이 딱 무엇이다고 단정짓지 않았으면 한다"고 답했다.

▲ 기후솔루션이 진행한 '기대해: 기후대선을 지지해(기대해)' 캠페인 홍보 이미지. <기후솔루션>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KoSIF)은 각 정당 대선 후보들에 발송한 ‘ESG·기후·재생에너지 정책 질의서' 응답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이번 질의에는 이재명 후보와 권영국 후보만 답변을 보냈고 김문수 후보와 이준석 후보는 공식 답변을 주지 않았다.
이에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은 "기후위기와 수출 여건 불확실성이 커지는 지금 차기 정부의 ESG 대응 방향은 기업과 금융기관의 경쟁력을 좌우할 주요 정책 변수"라며 "사회경제적 혼란 속에서도 지속가능성 기반을 제도화하기 위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이번 정책 질의서에는 ESG기본법 제정 찬반 여부 및 추진 계획, 지속가능성 공시 조기 의무화 로드맵 제시, 금융기관 자산건전성 평가시 기후리스크 반영 및 감독당국 지침 마련 등을 담았다.
이재명 후보와 권영국 후보는 질의서에 담긴 정책들에 모두 동의한다는 답변을 보냈다.
이종오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사무국장은 "더불어민주당과 민주노동당 후보가 주요 ESG정책에 명확한 입장을 밝힌 반면 원내 제2당인 국민의힘과 개혁신당이 공식 답변을 제출하지 않은 것은 매우 아쉽다"며 "ESG는 글로벌 공급망∙투자 유치∙기업 경영과 금융 전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초당적으로 대처해야 하는 정책 분야로 차기 정부에서는 여야를 가로지르는 협력과 예측 가능한 정책 방향 제시가 필수적이다"고 강조했다.
이 사무국장은 이어 "ESG 정책의 지속성과 일관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보다 폭넓은 사회적 논의와 정치권의 책임 있는 참여가 필요하다"며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은 앞으로도 지속가능성이 기반한 기업 및 금융 정책 인프라 구축을 위한 공론장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손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