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삼표그룹이 선제적으로 스마트 안전 기술을 도입해 사고 대응 능력을 강화한다.
삼표그룹은 26일 현장 작업 현황을 통합 관리하는 온라인 ‘안전포털 시스템’ 운영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안전포털 시스템은 작업자의 다양한 산업활동에 따른 재난대응 역량을 강화하고자 표준화된 매뉴얼을 전산화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계열사 부문별 사업 현황에 맞는 데이터 서비스를 강화하고 디지털 안전활동을 통합해 관리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았다.
특히 데이터 시각화 기능을 강화했다고 삼표그룹은 설명했다. 사진이나 도표로 일일작업현황 및 관찰일지 등 안전 활동과 관련된 현황을 알 수 있어 사용자의 접근성과 활용성이 크게 개선됐다고 덧붙였다.
안전포털 시스템은 작업유형에 따른 작업허가서와 위험성 평가, 작업 전 안전점검회의(TBM), 작업계획서 등 안전 서류 4종의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작업 효율성을 높인다.
이외에도 △일상 △화기 △안전절차 △고소 △중장비 △전기 등 작업유형별 위험등급을 선택하고 그에 따른 안전관찰담당자를 지정해 예방 조치 및 관리 책임을 명확히 했다.
삼표그룹은 안전포털시스템을 바탕으로 사업소와 공장 등에서 사고 징후를 사전에 파악하고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삼표그룹 관계자는 “안전포털시스템은 레미콘, 골재, 몰탈, 콘크리트, 레일웨이, 건설소재, 환경자원 등 그룹사의 사업부별 69개 현장에 도입됐다”며 “앞으로도 산업 현장에서 안전사고 위험을 낮출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조경래 기자
삼표그룹은 26일 현장 작업 현황을 통합 관리하는 온라인 ‘안전포털 시스템’ 운영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 삼표그룹이 선제적으로 스마트 안전 기술을 도입해 사고 대응 능력을 강화한다. <삼표그룹>
안전포털 시스템은 작업자의 다양한 산업활동에 따른 재난대응 역량을 강화하고자 표준화된 매뉴얼을 전산화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계열사 부문별 사업 현황에 맞는 데이터 서비스를 강화하고 디지털 안전활동을 통합해 관리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았다.
특히 데이터 시각화 기능을 강화했다고 삼표그룹은 설명했다. 사진이나 도표로 일일작업현황 및 관찰일지 등 안전 활동과 관련된 현황을 알 수 있어 사용자의 접근성과 활용성이 크게 개선됐다고 덧붙였다.
안전포털 시스템은 작업유형에 따른 작업허가서와 위험성 평가, 작업 전 안전점검회의(TBM), 작업계획서 등 안전 서류 4종의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작업 효율성을 높인다.
이외에도 △일상 △화기 △안전절차 △고소 △중장비 △전기 등 작업유형별 위험등급을 선택하고 그에 따른 안전관찰담당자를 지정해 예방 조치 및 관리 책임을 명확히 했다.
삼표그룹은 안전포털시스템을 바탕으로 사업소와 공장 등에서 사고 징후를 사전에 파악하고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삼표그룹 관계자는 “안전포털시스템은 레미콘, 골재, 몰탈, 콘크리트, 레일웨이, 건설소재, 환경자원 등 그룹사의 사업부별 69개 현장에 도입됐다”며 “앞으로도 산업 현장에서 안전사고 위험을 낮출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조경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