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서울 오피스 공실률이 강서 마곡 대형 오피스가 공급된 영향에 높아졌다.
12일 부동산분석업체 알스퀘어가 전국 오피스 3463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1분기 서울 기타권역 공실률은 16.4%로 집계됐다. 지난해 1분기(2.9%)와 비교해 13.5%포인트 급등했다.
강서구 마곡에 대형 오피스가 공급된 영향이 있었던 영향으로 분석됐다. 기타권역뿐 아니라 서울 주요 권역에서도 공실률 상승이 이어졌다.
강남권역(GBD) 공실률은 4.5%로 같은 기간 2.1%포인트, 도심권역(CBD)은 4.1%로 1.7%포인트, 여의도권역(YBD)은 3%로 1.3%포인트 올랐다.
다만 서울 오피스 임대료는 같은 기간에 전반적으로 상승했다.
도심권역은 1분기 3.3㎡(1평)당 임대료가 11만2882원으로 지난해 같은 시기보다 3.2% 올랐다. 강남권역은 11만847원으로 같은 기간 6.1% 올랐다.
여의도권역은 9만7056원, 기타권역은 6만9029원으로 각각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5.9%, 2.8% 올랐다.
1분기 오피스 거래건수는 모두 20건으로 집계됐다. 주요 거래로는 강서구 한컴포올(2조3350억 원)과 중구 대신파이낸스센터(6620억 원), 중구 남산스퀘어(5805억 원) 등이 꼽혔다. 안수진 기자
12일 부동산분석업체 알스퀘어가 전국 오피스 3463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1분기 서울 기타권역 공실률은 16.4%로 집계됐다. 지난해 1분기(2.9%)와 비교해 13.5%포인트 급등했다.

▲ 서울 오피스 공실률이 강서 마곡 대형 오피스가 공급된 영향에 상승했다. 사진은 한 상가 사무실 임대 광고. <연합뉴스>
강서구 마곡에 대형 오피스가 공급된 영향이 있었던 영향으로 분석됐다. 기타권역뿐 아니라 서울 주요 권역에서도 공실률 상승이 이어졌다.
강남권역(GBD) 공실률은 4.5%로 같은 기간 2.1%포인트, 도심권역(CBD)은 4.1%로 1.7%포인트, 여의도권역(YBD)은 3%로 1.3%포인트 올랐다.
다만 서울 오피스 임대료는 같은 기간에 전반적으로 상승했다.
도심권역은 1분기 3.3㎡(1평)당 임대료가 11만2882원으로 지난해 같은 시기보다 3.2% 올랐다. 강남권역은 11만847원으로 같은 기간 6.1% 올랐다.
여의도권역은 9만7056원, 기타권역은 6만9029원으로 각각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5.9%, 2.8% 올랐다.
1분기 오피스 거래건수는 모두 20건으로 집계됐다. 주요 거래로는 강서구 한컴포올(2조3350억 원)과 중구 대신파이낸스센터(6620억 원), 중구 남산스퀘어(5805억 원) 등이 꼽혔다. 안수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