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국민의힘 2차 경선에서 김문수, 홍준표 예비후보가 친윤계(친윤석열) 인사 영입에 발벗고 나섰다.

친윤계는 탄핵 정국에서 한때 '폐족'이 되는 듯했으나 이제 구애의 대상으로 떠오른 것이다. 이들을 영입해 '윤심'을 확보하면 2차 경선의 핵심 변수인 당심을 얻을 수 있는 형국이기 때문이다. 
 
친윤계 2차 경선에 '폐족' 아닌 '상종가', 김문수 홍준표는 영입 경쟁 치열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선거 경선 후보(왼쪽)와 홍준표 국민의힘 대통령선거 경선 후보. <연합뉴스>


24일 국민의힘 안팎의 움직임을 종합하면 이른바 탄핵 반대 후보 캠프에 친윤계 인사의 합류가 이어지고 있다.

김문수 후보 캠프는 전날인 23일 캠프 사무실에서 이용 전 의원과 윤상현 의원이 선거 캠프에 합류한다고 밝혔다.

이 전 의원은 지난 대선 당시 윤석열 전 대통령의 수행실장을 맡으며 '호위무사'라는 별명을 얻었다. 그간 친윤계에서 윤 전 대통령의 의중을 전달하는 창구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윤 의원도 탄핵 반대 집회 등을 주도하며 '찐윤'(진짜 친윤)을 넘어 '맹윤'(맹렬한 친윤)이라는 평가까지 받았다.

최근 홍준표 후보 캠프에도 친윤계 핵심 인사로 꼽히는 이철규 국민의힘 의원이 합류했다. 이 의원은 윤석열 정부에서 핵심 실세로 '윤핵관', '친윤 실세'로 불렸다. 특히 홍 후보 측은 친윤계 인사 추가 영입도 추진하고 있어 친윤계 영입 경쟁이 본격화하는 양상이다.

홍 후보 비서실장인 김대식 국민의힘 의원은 23일 선거사무소에서 캠프 인선을 발표하며 "캠프 선관위원장으로 김기현·나경원·주호영 의원을 모시려 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기현·나경원 국민의힘 의원도 각종 탄핵 반대 집회 연단에 오르는 등 윤석열 지키기에 앞장서 왔다.

이에 양 캠프가 '친윤계'를 두고 쟁탈전을 벌이는 모양새가 연출됐다. 1차 경선에서 나경원 후보가 탈락하면서 탄핵 반대 여론이 예상보다 강하지 않다는 해석이 나오는 와중에도 '윤심' 잡기 경쟁을 이어지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앞서 친윤계는 이번 대선 후보 경선 이전까지 스스로를 '폐족'이라고 부를 정도로 곤궁한 처지에 놓여있었다. 윤 전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령 선포로 국민 여론은 멀어졌고, 윤 전 대통령은 파면까지 됐다.

실제 김기현 의원은 4일 헌법재판소가 윤 전 대통령 파면 결정을 내린 뒤 열린 비공개 의원총회에서 "우리는 폐족이 됐다. 다가오는 선거는 이기기 어렵다"며 "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들끼리 전열을 재정비하고, 다음 10년을 준비해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여기에 사법 리스크도 잇달았다. 장제원 전 국민의힘 의원은 성폭력 혐의로 피소됐고, 이철규 의원의 아들은 대마 투약 혐의로 23일 구속됐다. 친윤계 핵심이 무너지는 양상이었다.

그랬던 친윤계가 지금 '상종가'를 치고 있다. 특히 2차 경선 국면 가운데 탄핵 반대 예비후보들이 '모시기' 경쟁을 벌이고 있다.  
 
친윤계 2차 경선에 '폐족' 아닌 '상종가', 김문수 홍준표는 영입 경쟁 치열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왼쪽)과 이철우 경북도지사. <연합뉴스>


김 후보 캠프와 홍 후보 캠프는 나 의원과 이철우 경북도지사의 지지를 끌어내기 위해 다각도로 접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당심 확보를 위한 행보가 본격화하는 분위기다.

친윤계의 인기가 다시 높아지는 배경에는 윤 전 대통령 탄핵 반대라는 정치적 입장 공유 외에도 2차 경선 방식에 주요 원인이 있다. 

1차 경선은 국민 여론조사 100% 방식으로 진행됐는데, 2차 경선부터는 당원 선거인단 투표(50%)와 국민여론조사(50%)가 반영되는 방식이다. 당심이 결정적 변수가 된 것이다. 

김 후보는 23일 자신의 캠프 사무실에서 '김문수 정책연구원' 출범식을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1차 경선 탈락자들과 연락했다며 "이철우 경북지사가 (우리를) 밀어주기로 했다"고 밝혔다. 전날 1차 경선에서 탈락한 나 의원을 두고는 "나 의원에게는 문자를 드렸고 아직까지 통화는 못 했다"며 "(나 의원을) 위로도 하고 많이 도와 달라고 말씀드렸다"고 전했다.

나 의원과 이 지사는 우선 거리를 두는 모양새다. 나 의원은 아직 공식적인 입장을 내지 않고 있다. 이 지사는 23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자유우파 종가집 종손으로서 우리당 후보가 결정되면 자유우파가 똘똘 뭉치도록 역할을 해야한다"며 "우리 당 경선시에는 종손으로서 중립을 지키겠다"고 밝혔다.

한편 탄핵 탄성 예비후보들도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한동훈 후보 쪽은 일단 '세 불리기'에 나선 모습이다. 1차 예비경선에서 탈락한 양향자 전 개혁신당 의원은 23일 한 후보 캠프에 합류했다. 3선의 김성원 의원도 한 후보와 뜻을 함께 하기로 했다. 

한 후보는 현재 현역의원 20여 명의 공식 지지를 받고 있다. 다만 한 후보를 지지하는 현역 의원 상당수는 비례·초선 의원으로, 조직력은 규모에 비해 약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안철수 후보 캠프는 영입보다는 탄핵 찬성 예비후보를 향한 공세에 화력을 집중하고 있다. 

안 후보는 23일 국민의힘 미디어데이 행사에서 '현역 의원 지지세가 약하다'는 지적에 "경선은 당원과 국민이 50대 50으로 결정하는 것"이라며 "어떻게 하면 당원과 국민 마음을 얻는지가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조성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