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개인 데이터 분석하는 통신3사 품질관리 서비스, 개인정보 수집·저장 비공개해 논란

▲ 이동통신 3사가 과거에도 통신 가입자 개인정보를 무단으로 활용해 논란을 빚은 적이 있어, 최근 AI를 통해 개인 통신 데이터를 분석하는 품질관리 시스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비즈니스포스트]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개인 사용자 데이터를 분석해 통신서비스 품질을 개선하는 방안을 찾고 있다. 

하지만 각 사가 어떤 개인 데이터를 수집해 어떻게 활용하는지 구체적 정보는 공개하지 않아, 과거처럼 개인정보 무단 저장과 사용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다.

15일 KT는 인공지능(AI)이 이동통신 가입자의 사용 패턴과 품질 정보를 분석해 이상 징후를 예측하고, 불편 사항을 선제적으로 개선하는 방식을 도입키로 했다.

KT는 딥러닝과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한 AI 시스템을 활용해 이동통신 품질 관련 데이터를 분석한 뒤, 가입자에 실제 불편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중계기 점검이나 교체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다.

KT는 마이크로소프트 인프라를 기반으로 AI 모델의 성능을 고도화하고, 하반기에는 인터넷, IPTV 등 유선 가입자에게도 이같은 서비스를 확대 제공할 계획이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도 AI를 활용해 네트워크 품질을 개선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SK텔레콤은 무선 네트워크 품질 관리 AI 솔루션인 ‘A-STAR’를 개발해 이를 전국 자사 기지국에 적용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AI 기반 고객관계관리(CRM) 시스템을 활용, 가입자의 서비스 불만을 사전에 탐지하고 예방하는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수집된 네트워크 품질 데이터를 분석하면 가입자별 통신 품질을 실시간으로 측정, 이를 기반으로 전국 지역별 품질 현황을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통신사 측은 예상했다.

통신사 측은 이용자가 불편을 느끼기 전에 네트워크 상태를 먼저 감지해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이용자 입장에서도 이전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품질 개선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도 각 통신사로부터 통신 품질 관련 자료를 받아 비교·분석하면 되기 때문에 통신 품질을 측정하느라 예산을 낭비할 필요는 없어질 것으로 보인다.
 
AI로 개인 데이터 분석하는 통신3사 품질관리 서비스, 개인정보 수집·저장 비공개해 논란

▲ 이동통신 3사는 인공지능(AI)로 개인 통신 데이터를 분석해 통신 서비스 품질을 높이는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은 KT 직원들이 AI를 활용해 이동통신 네트워크 품질 상황을 점검하고 있는 모습. < KT >


하지만 통신사 AI가 수집하는 데이터 범위를 두고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KT는 매일 1300만 이동통신 가입자로부터 발생하는 통신 데이터 중 개인정보를 제외한 데이터를 분석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수집하는 통신 데이터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이고, 개인정보 데이터는 수집하지 않는 것인지, 아니면 수집은 하는데 분석은 하지 않는다는 것인지 등 구체적 정보는 공개하는 않았다. 

이에 따라 데이터가 어떤 방식으로 분석되고, 이후 어떻게 처리되는지, 인공지능 학습 등을 이유로 별도로 저장되거나 제3자에게 제공되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KT 관계자는 “개인정보를 제외한 데이터를 분석한다”며 “어떤 데이터를 수집하는지 등 다른 내용은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이같은 우려는 과거에도 통신사들이 사용자 동의 없이 휴대전화 위치정보를 무단으로 수집해 사용하며 논란을 빚었던 적이 있기 때문이다.

2021년 방송통신위원회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합동 실태점검을 통해 이동통신 3사가 가입자 휴대전화 위치정보 몰래 수집해 불법적으로 활용한 사실을 확인했다.

2024년 SK텔레콤의 AI 비서 ‘에이닷’은 통신비밀보호법 위반 소지를 지적받기도 했다. 음성 통화의 텍스트 변환과 내용 요약을 위해 AI 서버를 거쳐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당사자 동의 없이 통화 내용을 처리할 경우 타인의 통신을 몰래 엿들을 수 없도록 한 통신비밀보호법에 저촉될 수 있다는 것이다.

안진걸 민생경제연구소장은 비즈니스포스트와 통화에서 “통신사들이 과거에도 가입자 동의를 구하지 않고 통신 데이터를 여러 번 사용한 일이 있어, 국민은 크게 걱정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안 소장은 “개인 통신 데이터를 어디까지 활용하겠다는 것인지, 그것을 활용해 어떻게 처리하겠다는 것인지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가입자와 이용자 동의를 사전에 구하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지적했다. 조승리 기자